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Search

Page Path
HOME > Search
4 "Daehoon Kim"
Filter
Filter
Article category
Keywords
Publication year
Authors
Original Articl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the risk of hypothyroidism in adult male workers in Korea: a cohort study
Seonghyeon Kwon, Yesung Lee, Eunhye Seo, Daehoon Kim, Jaehong Lee, Youshik Jeong, Jihoon Kim, Jinsook Jeong, Woncheol Lee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41.   Published online October 19,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41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PubReaderePub
Background

Shift work has been reported to have several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However, a small number of studies hav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adverse effects on the thyroid. In our longitudinal study, we examined the causal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the risk of hypothyroidism.

Methods

A Kangbuk Samsung Cohort Study was conducted on 112,648 men without thyroid disease at baseline who were followed up at least once between 2012 and 2019. Shift work status and shift schedule types were categorized using standardized questionnaires. Hypothyroidism was defined using the reference ranges of serum thyroid-stimulating hormones and free thyroxine levels. Hazard ratios (H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incident hypothyroidism were estimat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analyses with the daytime work group as the reference.

Results

During the 501,237 person-years of follow-up, there were 6,306 incident cases of hypothyroidism (incidence density, 1.26 per 100 person-years). The multivariable-adjusted HR of incident hypothyroidism for the shift work total group that included all shifts compared with the daytime work group was 1.27 (95% CI: 1.15–1.40). For the fixed evening, fixed night, rotating shift, and other shift workers, the multivariable-adjusted HRs (95% CI) were 1.11 (0.76–1.61), 2.18 (1.20–3.93), 1.39 (1.23–1.56), and 1.00 (0.82–1.22), respectively. In subgroup analyses by age,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hypothyroidism was more pronounced in younger participants (< 40 years; HR: 1.31; 95% CI: 1.16–1.47).

Conclusions

Our large-scale cohort study showed an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the incidence of hypothyroidism, especially in younger workers with night shifts.

한국 성인 남성 근로자에서 교대근무와 갑상선 기능 저하증 위험의 연관성: 코호트 연구
목적
교대 근무는 인체에 여러 가지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소수의 연구만이 교대 근무와 갑상선에 대한 이상 반응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이번 종단 연구에서는, 교대 근무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위험 간의 인과 관계를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본 강북삼성 코호트 연구는 2012년과 2019년 사이에 최소 한 번 이상 추적 검사를 받았고, 연구 시작 시점에서 갑상선 질환이 없는 112,648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표준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교대근무 현황 및 교대근무 유형을 분류하였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혈청 갑상선 자극 호르몬과 유리 티록신 수치의 참고치를 기준으로 정의되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대한 위험비(HR)와 95% 신뢰구간(CI)은 주간 근무 그룹을 기준으로 콕스 비례위험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추정되었다.
결과
501,237인년의 추적 조사 기간 중 6,306건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 케이스가 발생하였다 (발생밀도, 100인년당 1.26). 주간 근무 그룹과 비교하여 모든 교대 근무 유형을 포함한 그룹에 대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다변량 조정 위험비는 1.27 (95% 신뢰구간, 1.15–1.40)이었다. 고정 저녁, 고정 야간, 윤번 교대 및 기타 교대 근무 그룹의 경우 다변량 조정 위험비 (95% 신뢰구간)는 각각 1.11 (0.76–1.61), 2.18 (1.20–3.93), 1.39 (1.23–1.56) 및 1.00 (0.82–1.22)이었다. 연령에 따른 하위집단 분석에서 교대근무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연관성은 젊은 참가자들에게서 더 두드러졌다 (<40세; 위험비, 1.31; 95% 신뢰구간, 1.16–1.47).
결론
본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특히 야간 근무를 하는 젊은 근로자들에서, 교대 근무와 갑상선 기능 저하증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229 View
  • 7 Download
Close layer
Original Article
Association between hearing loss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the Kangbuk Samsung Cohort Study
Jihoon Kim, Yesung Lee, Eunhye Seo, Daehoon Kim, Jaehong Lee, Youshik Jeong, Seonghyun Kwon, Jinsook Jeong, Woncheol Lee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38.   Published online September 11,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38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Hearing loss (HL) is linked to an elevat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CVDs). The pathogeneses of HL and CVD commonly involve inflammatory responses.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elevated levels of inflammatory biomarkers in subjects with HL, however, their findings did not demonstrat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ur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HL and increase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levels to determine how HL is associated with CVDs.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with workers aged over 18 years who underwent health check-ups at our institution between 2012 and 2018 (n = 566,507), followed by conducting a longitudinal study of workers aged > 18 who underwent health checkups at least twice at our institution between 2012 and 2018 (n = 173,794). The definition of HL was as an average threshold of ≥ 20 dB in pure-tone air conduction at 0.5, 1.0, and 2.0 kHz in both ears. The incidence of increased hsCRP levels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was defined as a level exceeding 3 mg/L. Logistic regression an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risk of increased hsCRP level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HL in groups stratified by age.

Results

In the cross-sectional study, the multivariate-adjusted odds ratio (OR) was 1.1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1.34); the OR was 0.99 (95% CI: 0.80–1.22) in those under 40 and 1.28 (1.08–1.53) in those over 40. In the longitudinal study, the multivariable-adjusted OR was 1.05 (95% CI: 0.92–1.19); the OR was 1.10 (95% CI: 0.90–1.35) in those under 40 and 1.20 (1.01–1.43) in those over 40.

Conclusions

This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identified an association between HL and increased hsCRP levels in workers aged over 40 years.

청력손실과 고감도 C-반응단백의 연관성
목적
청력손실은 심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률 증가와 관련 있다. 청력손실과 심혈관질환의 병인은 공통으로 염증반응을 포함한다. 몇몇 연구에서 청력손실 환자의 염증성 바이오마커 수치가 증가했음을 연구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단면연구 및 종단연구에서는 청력손실이 심혈관질환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청력손실과 염증성 바이오마커인 고감도 C-반응단백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방법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 기관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18세 이상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수행하였다 (n=566,507). 이후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 기관에서 건강검진을 2회 이상 받은 18세 이상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종단연구를 수행하였다 (n=173,794). 청력손실은 3분법에 의한 순음청력역치가 양측 모두 20 dB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추적관찰 동안 고감도 C-반응단백의 증가는 혈중 농도 3 mg/L 초과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청력손실 발생에 따른 고감도 C-반응단백 증가의 위험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일반화 추정방정식을 활용하였다. 또한 연령에 따라 계층화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하였다.
결과
단면연구에서 최종참가자 204,091명 중 난청 유병률은 0.02% 이었다. 다변량 보정 교차비는 1.17 (95% 신뢰구간 1.02-1.34) 이었다. 40세 이하와 초과인 군에서는 각각 0.99 (0.80-1.22) 와 1.28 (1.08-1.53) 이었다. 종단연구에서 추적관찰 동안 고감도 C-반응단백 수치는 청력손실군 2,349 명 중 272 명, 비청력손실군 116,301명 중 11,049 명에서 증가하였다. 다변수 보정 교차비는 1.05 (95% 신뢰구간 0.92-1.19) 이었다. 40세 이하와 초과인 군에서는 각각 1.10 (0.90-1.35) 과 1.20 (1.01-1.43) 이었다.
결론
본 단면연구 및 종단연구에서는 40세 초과하는 근로자에서 청력손실과 고감도 C-반응단백의 증가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207 View
  • 1 Download
Close layer
Original Article
Overall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according to 10-year cardiovascular risk of the general health checkup: the Kangbuk Samsung Cohort Study
Youshik Jeong, Yesung Lee, Eunchan Mun, Eunhye Seo, Daehoon Kim, Jaehong Lee, Jinsook Jeong, Woncheol Lee
Ann Occup Environ Med 2022;34:e40.   Published online November 23, 2022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2.34.e40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accident status analysis in 2020, of 1,180 occupational deaths, 463 were caused by cardiovascular disease (CVD). Workers should be assessed for CVD risk at regular intervals to prevent work-related CVD in accordance with the rule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However, no previous study has addressed risk and mortality. Therefore, this longitudinal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10-year cardiovascular risk of the general health checkup and mortality.

Methods

The study included 545,859 participants who visited Kangbuk Samsung Total Healthcare Centers from January 1, 2002, to December 31, 2017. We performed 10-year cardiovascular risk assessment for the participants and the risk was divided into 4 groups (low, moderate, high, and very high). The study used death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or survival status as an outcome variable by December 31, 2019, and the cause of death based on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10th Revision (ICD-10) was identifi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um of the periods from the first visit to the date of death or December 31, 2019, was used as a time scale. We also performed a stratified analysis for age at baseline and sex.

Results

During 5,253,627.9 person-years, 4,738 overall deaths and 654 cardiovascular deaths occurred. When the low-risk group was set as a reference, in the multivariable-adjusted model, the hazard ratios (HRs) (95% confidence interval [CI]) for overall mortality were 3.36 (2.87–3.95) in the moderate-risk group, 11.08 (9.27–13.25) in the high-risk group, and 21.20 (17.42–25.79) in the very-high-risk group, all of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ardiovascular death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isk classification was more pronounced. The HRs (95% CI) were 8.57 (4.95–14.83), 38.95 (21.77–69.69), and 78.81 (42.62–145.71) in each group. As a result of a subgroup analysis by age and sex, the HRs of all-cause mortality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tended to be higher in the high-risk group.

Conclusions

This large-scale longitudinal study confirmed that the risk of death increases with the 10-year cardiovascular risk of general health checkup.

일반건강검진 10년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도에 따른 사망률: 강북삼성 코호트 연구
목적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KOSHA)의 2020년도 산업재해 현황 분석에 따르면 2020년도 업무상 질병 사망자 1,180명 중 심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는 463명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근로자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하여 작업 관련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정해진 주기에 따라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도 평가 및 사후 관리를 받아야 한다. 하지만 발병 위험도와 사망률에 대한 기존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이번 종단 연구는 일반건강검진 10년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도와 사망률 간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는 2002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에 방문한 545,859명의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 대상자들은 KOSHA 가이드라인에 따라 저위험군, 중등도위험군, 고위험군, 최고위험군 총 4개의 군으로 분류되었다. 연구는 강북삼성병원 코호트 자료와 연계된 통계청 사망자료를 이용하여 사망 여부와 사망원인을 확인하였다. 2019년 12월 31일까지의 사망 여부를 확인하여 결과변수로 정했고, 사망원인은 국제질병분류(ICD-10)를 기반으로 확인하였다. 통계 분석은 Cox 회귀 분석으로 하였고, 첫 방문부터 사망일 혹은 2019년 12월 31일까지의 기간들의 합산을 시간 척도로 사용하였다. 또한 나이와 성별에 대해 층화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추적 관찰 기간 중앙값 9.07년 및 총 5,253,627.9인년 동안 발생한 전체 사망자는 4,738명, 심뇌혈관계 사망자는 654명이었다. 저위험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다변수 보정 모형에서 전체 사망의 위험비(HR)(95% 신뢰구간)는 중등도위험군에서 3.36 (2.87-3.95), 고위험군에서 11.08 (9.27-13.25), 최고위험군에서 21.20 (17.42-25.79)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심뇌혈관계 사망의 위험비는 각각의 군에서 8.57 (4.95-14.83), 38.95 (21.77-69.69), 78.81 (42.62-145.71)로 차이가 더 두드러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또한 나이와 성별의 층화분석을 시행하였을 때도 고위험군에서 전체 사망률과 심뇌혈관계 사망률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이번 대규모 종단 연구를 통해서 일반건강검진 10년 심뇌혈관질환 발병 위험도가 높을수록 실제 사망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Lead Levels and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Determined by Using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Eunyoung Park, Suwhan Kim, Seunghyeon Cho, Hyeonjun Kim, Inho Jung, Jai-Dong Moon, Won-Ju Park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2023;[Epub]     CrossRef
  • 203 View
  • 2 Download
  • 1 Web of Science
  • 1 Crossref
Close layer
Original Article
Association between sitting-time at work and incidence of erosive esophagitis diagnosed by esophagogastroduodenoscopy: a Korean cohort study
Daehoon Kim, Yesung Lee, Eunchan Mun, Eunhye Seo, Jaehong Lee, Youshik Jeong, Jinsook Jeong, Woncheol Lee
Ann Occup Environ Med 2022;34:e15.   Published online July 21, 2022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2.34.e15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Most previous longitudinal studies on lifestyle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have focused on physical activity rather than sitting tim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rolonged sitting time and the development of erosive esophagitis (EE).

Methods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for measuring sitting time in the Kangbuk Samsung Health Study. Sitting time was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 6, 7–8, 9–10, and ≥ 11 hours/day.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was performed by experienced endoscopists who were unawared of the aims of this study. Hazard ratios (H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the development of EE were estimat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analyses with ≤ 6 hours/day sitting time as the reference.

Results

There were 6,524 participants included in the study. During a mean follow-up of 3.14 years, 2,048 incident cases developed EE. In age- and sex-adjusted models, the HR in the group sitting ≥ 11 hours per day compared ≤ 6 hours per day was 0.88 (95% CI: 0.76–0.99). After further adjusting for alcohol intake, smoking status, educational level, history of diabetes, and history of dyslipidemia, sitting time was still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risk of EE (HR, 0.87; 95% CI: 0.76–0.98). After further adjustment for exercise frequency, this association persisted (HR, 0.86; 95% CI: 0.76–0.98). In subgroup analysis by obesity, the relationship between sitting time and EE was only significant among participants with body mass index < 25 kg/m2 (HR, 0.82; 95% CI: 0.71–0.95).

Conclusions

Generally, prolonged sitting time is harmful to health, but with regard to EE,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is is the case.

업무상 앉아 있는 시간과 식도위 십이지장 내시경으로 진단된 미란성 식도염 발병률의 연관성: 일개 한국인 코호트 연구
목적
생활습관이 역류성 식도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종단 연구는 대부분 신체활동에 대한 내용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하루 중 앉아 있는 시간이 Erosive esophagitis 발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본원 건강검진센터를 방문한 수검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Sitting time 의 측정은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총 4그룹으로 범주화하였다: ≤6, 7–8, 9–10, and ≥11 hours/day. 내시경 전문가에 의해 시행된 위내시경 소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Sitting time 이 Erosive esophagitis 발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루 평균 6시간 이하 앉아 있는 그룹을 기준으로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을 이용해 생존분석을 시행했다.
결과
총 6,524 명의 대상자를 평균 3.14년 추적관찰하였고, 그 결과 2,048 명의 incident cases 를 발견하였다. 연령과 성별을 보정한 모델 1에서 기준 그룹보다 하루 평균 11시간 이상 앉아 있는 그룹에서 Hazard ratio(HR) 가 0.88 (95% CI 0.76-0.99) 로 발병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 흡연, 교육 수준, 당뇨병 및 고지혈증 과거력을 보정한 모델 2에서도 HR 가 0.87(95% CI 0.76-0.98) 로 발병위험도가 여전히 낮았으며, 운동 빈도를 추가로 보정한 모델 3에서도 HR 가 0.86(0.76-0.98) 으로 발병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 유무에 따라 층화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BMI < 25 kg/m2 인 비비만 그룹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HR = 0.82, 95% CI : 0.71–0.95).
결론
일반적으로, prolonged sitting time 은 건강에 해롭지만,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서는 그렇게 결론 내리기 어렵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Causal links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leisure sedentary behaviours and gastro-oesophageal reflux disease: a multivariable two-sample Mendelian randomisation study
    Xingji Lian, Yifen Lin, Xiaohui Peng, Yanhui Wang, Ting He, Ziyong He, Wenlong Gu, Hongwu Wang, Feng He, Yuyu Huang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2023; 77(7): 460.     CrossRef
  • 306 View
  • 1 Download
  • 1 Web of Science
  • 1 Crossref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