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Author index

Page Path
HOME > Browse articles > Author index
Search
Seok-Yoon Son 2 Articles
Telecommuting during the COVID-19: the role of job demand and control on health outcomes
Seung-Woo Ryoo, Jin-Young Min, Seok-Yoon Son, Baek-Yong Choi, Juho Choi, Kyoung-Bok Min
Ann Occup Environ Med 2024;36:e14.   Published online June 14, 2024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4.36.e14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PubReaderePub
Background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pandemic drastically modified the occupational system wherein telecommuting has risen as the major form of work. Few studies have incorporated Karasek’s job demand-control (JDC) model into explaining the health effects of telecommuting.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health risk in South Korean telecommuters during the pandemic, and it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job stress-related factors.

Methods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of South Korean laborers was conducted, utilizing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2020–2021). Following the previously described concept of telecommuting, 14,478 white-collar employees were eligible study participants. Telecommuting, job demand, job control, and various health indicators were measured by the responses to the survey. Participants were stratified into 4 job profiles classified by the JDC model. We conducte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between telecommuting and health-related outcomes to estimate the odds ratio (OR)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CI).

Results

One hundred forty-six low-strain, 223 active, 69 passive, and 148 high-strain workers were screened as telecommuters. Compared to office workers, telecommuters had a higher proportion in high job control groups. Subgroup analysis demonstrated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telecommuting and health, where only active telecommuters showed a higher prevalence of depression (OR: 1.980, 95% CI: 1.126–3.481), and high-strain telecommuters were affected in most outcomes including insomnia (OR: 2.555, 95% CI: 1.473–4.433), musculoskeletal pain (OR: 2.786, 95% CI: 1.719–4.517), headache/eye strain (OR: 3.074, 95% CI: 1.992–4.745) and presenteeism (OR: 1.932, 95% CI: 1.193–3.131).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significantly increased odds of multiple health outcomes among South Korean telecommut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era. High-strain job holders were prominently susceptible to the negative health impacts of telecommuting. Occupational health management towards telecommuters should approach mitigating high job demand and low job control.

코로나19 시기 재택근무: 건강 결과에 대한 직무 요구와 직무 재량의 역할
목적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재택근무는 직무 체계에서 주요한 업무 형태로 떠올랐다. 재택근무가 노동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데 있어 직무 요구-재량 모델을 도입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팬데믹 기간 동안 한국 재택근무자들의 건강 위험과 상기 직무 스트레스 관련 요인에 따른 분포를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방법
본 연구는 제6차 근로환경조사(2020~2021년)를 활용하여 한국 노동자에 대한 전국 인구 기반 횡단면 연구를 실시했다. 이전 연구에서 확립한 재택근무 개념에 따라 14,478명의 화이트 칼라 피고용인 노동자들을 적격집단으로 선정했다. 설문조사 응답 결과를 토대로 재택근무, 직무 요구, 직무 재량 및 다양한 건강 지표를 측정했다. 연구대상자들을 직무 요구-재량 모델에 따라 분류된 네 가지 직무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재택근무 여부에 따른 건강 변수의 오즈비(OR)와 95% 신뢰구간(CI)을 측정하였다.
결과
저-긴장 노동자 146명, 능동적 노동자 223명, 수동적 노동자 69명, 고-긴장 노동자148명이 재택근무자로 분류되었다. 통근근무자와 비교했을 때, 재택근무자들은 직무 재량이 높은 군에서 그 비중이 높았다. 층화분석 결과 재택근무와 건강 사이의 연관성은 군별로 상이하였는데, 오직 능동적 재택근무자들만이 통근근무자들보다 높은 우울증 유병률을 보였고 (OR 1.980, 95% CI 1.126-3.481) 고-긴장 재택근무자들이 가장 많은 결과 변수에서 유의한 오즈비를 보였다; 불면증 (OR 2.555, 95% CI 1.473-4.433), 근골격계 통증 (OR 2.786, 95% CI 1.719-4.517), 두통/안구 피로 (OR 3.074, 95% CI 1.992-4.745), 상병 시 근무 (OR 1.932, 95% CI 1.193-3.131).
결론
본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한국 재택근무자들에서 다수의 건강 문제가 발생할 오즈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중 고-긴장 업무에 종사하는 노동자들은 재택근무가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에 가장 취약하였다. 따라서 재택근무자들에 대한 산업보건 관리는 높은 직무 요구와 낮은 직무 재량을 완화하는 방향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 128 View
  • 11 Download
Close layer
Association between multiple jobs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among the Korean working population
Seok-Yoon Son, Jin-Young Min, Seung-Woo Ryoo, Baek-Yong Choi, Kyoung-Bok Min
Ann Occup Environ Med 2024;36:e21.   Published online August 6, 2024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4.36.e21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PubReaderePub
Background

The prevalence of multiple job-holding (MJH) is expected to show an upward trend among Korean workers, yet its potential impact on workers’ health remains poorly discusse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association between MJH and experience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in various aspects among active Korean workers and to identify its differences depending on workers’ gender.

Methods

We conducted a population-based cross-sectional study among South Korean workers aged 15–59 using data from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The final study sample comprised 34,175 participants. MJH status and symptoms, such as musculoskeletal pain, headache or eyestrain, fatigue, insomnia, and anxiety, were measured by self-reported data.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total sample and gender-stratified groups, with adjustments for the socio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Results

One hundred thirty-five men and 103 women were defined as multiple job-holders (MJHers) among the study sample. When adjusted for socio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MJHers suffered more events of headache or eyestrain (odds ratio [OR]: 1.85, 95% confidence interval [CI]: 1.23–2.78) and anxiety (OR: 1.99, 95% CI: 1.05–3.79). Gender-stratified analyses with adjustment showed that among women workers, MJH wa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pain (OR: 1.85, 95% CI: 1.02–3.34), headache or eyestrain (OR: 2.53, 95% CI: 1.37–4.67), fatigue (OR: 2.38, 95% CI: 1.29–4.40), insomnia (OR: 1.92, 95% CI: 1.04–3.57), and anxiety (OR: 2.83, 95% CI: 1.11–7.20).

Conclusions

We foun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MJH and various symptoms. Women MJHers were revealed to be a more vulnerable population than their men counterparts. Further research should account for the social context of MJH, and appropriate monitoring and intervention for maintaining the well-being of MJHers are needed.

한국인 근로자 집단에서의 다중직업종사와 육체적, 정신적 증상 간 연관성
목적
한 근로자가 동시에 두 개 이상의 직업을 가지는 행위인 ‘다중직업종사’ 현상은 한국인 근로자들 간 그 비중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다중직업종사가 근로자의 다양한 육체적, 정신적 증상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근로자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다중직업종사와 근로자의 건강 간 연관성을 다양한 관점에서 탐구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연관성이 근로자의 성별에 따라 관찰되는 차이에 대하여 확인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제6차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한 단면 연구로, 만 15세 이상 59세 이하인 한국인 근로자 34,175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다중직업종사 상태 및 육체적, 정신적 증상으로서 근골격계 통증, 두통 및 눈의 피로, 전신피로, 불면 및 불안의 유무는 자가 보고된 자료로 확인하였다. 연구대상 집단 전체 및 각 성별 집단을 대상으로, 근로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직업 특성을 보정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집단 중 135명의 남성과 103명의 여성이 다중직업종사자로 정의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직업 특성을 보정한 분석 결과 다중직업종사자에서 두통 및 눈의 피로 (OR 1.85, 95% CI 1.23-2.78)와 불안 (OR 1.99, 95% CI 1.05-3.79)의 위험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을 통한 층화 후 분석 결과 여성 근로자 집단에서 다중직업종사는 근골격계 통증 (OR 1.85, 95% CI 1.02-3.34), 두통 및 눈의 피로 (OR 2.53, 95% CI 1.37-4.67), 전신피로 (OR 2.38, 95% CI 1.29-4.40)와 불안 (OR 2.83, 95% CI 1.11-7.20) 간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다중직업종사와 근로자의 다양한 증상 간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중직업종사의 건강 영향은 여성 근로자 집단에서 보다 저명한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 연구는 다중직업종사 현상에 대한 사회적 맥락을 보다 고려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중직업종사자들의 건강 유지를 위한 모니터링 및 중재가 적절히 수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340 View
  • 36 Download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