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Search

Page Path
HOME > Search
2 "Sungbeom Kim"
Filter
Filter
Article category
Keywords
Publication year
Authors
Original Article
Relationship between organophosphate and pyrethroid pesticides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farmers
Sungbeom Kim, Sangchul Roh, Min-Gi Kim, Jeongbae Rhie, Jisue Yoon, Sun-In Moon
Ann Occup Environ Med 2024;36:e23.   Published online September 20, 2024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4.36.e23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
Background
The global use of pesticides steadily increased until the early 2010s. Pesticides play a significant role in agriculture in Korea. Metabolic syndrome is more prevalent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This study explored the potential association between organophosphate and pyrethroid pesticide exposure and metabolic syndrome.
Methods
This study enrolled 1,317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Pesticide Exposure and Intoxication Study conducted by the Dankook University Hospital Center for Farmers’ Safety and Health from 2014 to 2019. Urinary levels of dimethylphosphate, dimethylthiophosphat, diethylphosphate, and diethylthiophosphate were measured to assess organophosphate pesticide exposure and urinary levels cis-3-(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 carboxylic acid, trans-3-(2,2-dichlorovinyl)-2,2-dimethylcyclopropane carboxylic acid, cis-3-(2,2-dibromovinyl)-2,2-dimethylcyclopropane carboxylic acid, and 3-phenoxybenzoic acid were measured to assess pyrethroid pesticide exposure.
Results
The odds ratio for the 4th quartile group of organophosphate metabolites concentration was 1.48 (95% confidence interval: 1.06–2.09) compared to the 1st quartile group after adjustment for general factors. In addition, a positive trend was observed across the quartile groups of organophosphate metabolites concentration. A positive trend was noted across the quartile groups of organophosphate metabolites in males, while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observed in females. Furthermor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observed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pyrethroid metabolites concentration.
Conclusion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the concentrations of urinary organophosphate metabolites,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finding. This association may be attributed to the action of organophosphates as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s, stimulating beta cells in the islets of Langerhans. This can lead to alterations in lipid metabolism and insulin resistance, ultimately leading to metabolic syndrome development. Metabolic syndrome is a major contributor to cardiovascular disea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unique to rural areas, such as pesticide exposure.
한국 농업인의 유기인계 및 피레스로이드계 농약과 대사증후군 간의 관계
목적
농약 사용량은 2010년대 초까지 전세계적으로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농약은 한국 농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대사 증후군은 농촌 지역에서 도시 지역에 비하여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유기염소계 농약과 대사 증후군 사이의 관련성은 일부 연구된 바 있으나, 다른 종류의 농약 노출과 대사 증후군 사이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기인계 및 피레스로이드계 농약의 노출과 대사 증후군 사이의 관련성을 조사하고자 한다.
방법
2014년부터 2019년까지 단국대학교병원 농업안전보건센터에서 실시한 농약 노출 및 중독 연구에 참여한 1,31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유기인계 농약 노출 평가를 위해 DMP, DMTP, DEP, DETP의 소변 농도를 측정하였고, 피레스로이드계 농약 노출 평가를 위해 cis-DCCA, trans-DCCA, DBCA, 3-PBA의 소변 농도를 측정하였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농약 노출과 대사증후군 유병률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유기인계 대사체 농도에 따라 4분위 그룹으로 분류하였을 때, 4분위 그룹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오즈비 1.66(95% CI 1.22-2.28)으로 1분위 그룹에 비하여 높았다. 또한, 유기인계 대사체 농도와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유의한 경향성을 보였다. 피레스로이드계 대사체 농도에 따라 4분위 그룹으로 분류하였을 때, 3분위 그룹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오즈비 1.51(95% CI 1.11-2.07)로 1분위 그룹에 비하여 높았다. 피레스로이드계 대사체 농도와 대사증후군 사이에 유의한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유기인계 농약 대사체 농도와 대사 증후군의 유병률 사이에 양의 상관 관계가 관찰되었으며, 이전 연구 결과를 보충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대사 증후군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기전은 불분명하나, 유기인계 농약은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로 작용하므로 랑게르한스 섬의 베타 세포를 자극하고 이에 따른 지질 대사 및 인슐린 저항성의 변화로 인해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사 증후군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농촌 지역에서는 의료 접근이 비교적 취약하며 농약과 같은 특수한 위험 요인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 요인들을 식별하고 예방하여야 한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Assessing the association of multi-environmental chemical exposures on metabolic syndrome: A machine learning approach
    Yehoon Jo, Mi-Yeon Shin, Sungkyoon Kim
    Environment International.2025; 199: 109481.     CrossRef
  • 1,586 View
  • 215 Download
  • 1 Web of Science
  • 1 Crossref
Close layer
Original Article
Effect of night shift work on the reduction of glomerular filtration rate using data from Korea Medical Institute (2016-2020)
Beom Seok Ko, Sang Yop Shin, Ji Eun Hong, Sungbeom Kim, Jihhyeon Yi, Jeongbae Rhie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22.   Published online June 30,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22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
Background

Shift work increases the risk of chronic diseases, including metabolic diseases. Howev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and renal function are limi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a decreas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GFR).

Methods

Data were evaluated for 1,324,930 workers who visited the Korean Medical Institute from January 1, 2016 to December 31, 2020 and underwent a health checkup. Daytime workers were randomly extracted at a ratio of 1:4 after matching for age and sex. In total, 18,190 workers aged over 40 years were included in the analyses; these included 3,638 shift workers and 14,552 daytime workers.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into the shift work group when they underwent a specific health checkup for night shift work or indicated that they were shift workers in the questionnaire. The odds ratio was calculated using a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to investigate the relevance of shift work for changes in GFR.

Results

35 workers in the shift group and 54 in the daytime group exhibited an estimated GFR (eGFR) value of < 60 mL/min/1.73m2 (p < 0.01). The difference in eGFR values between two checkups differ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p < 0.01); the difference in the shift work group (−9.64 mL/min/1.73 m2) was larger than that in the daytime work group (−7.45 mL/min/1.73 m2). The odds ratio for eGFR reduction to < 60 mL/min/1.73 m2 in the shift group versus the daytime group was 4.07 (95% confidence interval: 2.54–6.52),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GFR decreases by a significantly larger value in shift workers than in daytime workers; thus, shift work could be a contributing factor for chronic kidney disease (CKD). Further prospective studies are necessary to validate this finding and identify measures to prevent CKD in shift workers.

교대근무가 신사구체 여과율에 미치는 영향
목적
교대근무는 대사질환을 포함한 만성질환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교대근무와 신기능과 관련된 연구는 제한적이다.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교대 근무와 사구체 여과율 감소와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16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한국의학연구소(KMI)에 내원하여 건강검진을 받은 1,324,930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나이와 성별에 대해 매칭한 후, 낮 근무자를 4:1의 비율로 무작위 추출하였다. 총 18,190 명의 40세 이상 근로자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교대 근무자 3,638 명과 낮 근무자 14,552 명이 포함되었다. 참가자들은 야간 특수 건강검진을 받았거나 설문지에서 교대 근무자임을 표시했을 때 교대 근무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교대 근무의 관련성과 신기능 변화 간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결과
교대 근무 그룹의 35 명과 낮 근무 그룹의 54 명이 추정 GFR(eGFR) 값이 60 mL/min/1.73m2 미만임을 보였다(P<0.01). 두 검진 간 eGFR 값 차이는 근무 형태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나며(P<0.01), 교대 근무 그룹(-9.64 mL/min/1.73m2)의 차이가 낮 근무 그룹(-7.45 mL/min/1.73m2)보다 크게 나타났다. 주간근무군에 비해 교대근무군에서 사구체 여과율이 60ml/min/1.73m2 미만으로 떨어질 교차비는 4.07(95% CI 2.54-6.52)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교대 근무자들의 eGFR 값이 주간 근무자들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교대 근무는 만성 신질환 발생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Circadian Clock Disruption and Growth of Kidney Cysts in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beda Jamadar, Christopher J. Ward, Viji Remadevi, Meekha M. Varghese, Navjot S. Pabla, Michelle L. Gumz, Reena Rao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2025; 36(3): 378.     CrossRef
  • 615 View
  • 7 Download
  • 1 Web of Science
  • 1 Crossref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