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Search

Page Path
HOME > Search
1 "Social jetlag"
Filter
Filter
Article category
Keywords
Publication year
Authors
Original Article
Mediation analysis of chronotype, sleep-related factor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workers: a cross-sectional study
Seo Young Kim, Hyo Jeong Kim, Seong-Sik Cho, Min Young Park, Mo-Yeol Kang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47.   Published online November 20,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47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PubReaderePub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chronotype on depressive symptoms and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quality, pre-sleep cognitive arousal, and social jetlag in a sample of wage earners.

Methods

A total of 3,917 waged workers were surveyed online in July 2022. Logistic regression and mediation analysis were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otype (morningness, intermediate, and eveningness) and depressive symptom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 5),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Insomnia Severity Index (IS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Pre-Sleep Arousal Scale (PSAS). All analyses were adjusted for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marital status, coffee consumption,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occupation, employment status, and working hours to calculate odds ratios (ORs).

Results

The chronotypes of all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morningness (4.7%), intermediate (93.5%), and eveningness (1.8%).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an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in the eveningness chronotype (OR: 2.96; 95% confidence interval [CI]: 1.51, 5.86). Regarding the mediation analysis, ISI mediated 28.44% (95% CI: 16.39–40.5), PSQI for 31.25% (95% CI: 19.36, 43.15), and PSAS-Cognitive Score (PSAS-C) for 23.58% (95% CI: 10.66, 36.50) of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otype and depressive symptoms. However, social jetlag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is relationship. (percentage mediated = 0.75%, 95% CI: −3.88, 5.39)

Conclusions

Evening chronotypes exhibit an increased risk of depressive symptoms, which ISI, PSQI, and PSAS-C partially mediated. This suggests that interventions to improve sleep quality and maintain adequate sleep habits may effectively prevent and treat depression in employees with an eveningness chronotype.

직장인의 크로노타입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수면 관련 요인의 매개 분석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임금 근로자를 대상으로 크로노타입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수면의 질, 수면 전 인지적 각성, 사회적 시차 등의 매개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2022년 7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모집한 만 19세 이상의 임금 근로자 391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성별을 층화하여 크로노타입 (아침형, 중간형, 저녁형)과 우울증상 간의 관계를 살펴본 후,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불면척도, 수면의 질, 수면 전 각성 척도, 사회적 시차의 각각의 우울 증상에 대한 매개 효과를 계산했다. 모든 분석은 연령, 교육수준, 소득, 결혼 여부, 동거인 여부, 커피, 흡연, 음주, 신체활동, 직종, 고용형태, 근무 시간을 보정하였다.
결과
참가자는 아침형(4.7%), 중간형(93.5%), 저녁형(1.8%)으로 나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업무 관련 요인을 통제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저녁형 그룹에서 우울증상 오즈비는 2.95 (95% 신뢰구간: 1.51–5.86)로 아침형 그룹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매개 분석 결과에서 불면 척도는 28.44% (95% 신뢰구간 16.39–40.5), 수면의 질은 31.25% (95% 신뢰구간 19.36–43.15), 수면 전 인지적 각성척도은 23.58% (95% 신뢰구간 10.66–36.50)를 매개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시차는 매개 효과가 0.75% (95% 신뢰구간 -3.88–5.39)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저녁형 크로노타입을 가진 근로자들이 아침형 근로자보다 우울증상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매개 효과 분석에서는 불면 척도, 수면의 질과 수면 전 인지적 각성이 우울 증상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녁형 크로노타입 근로자들과 같은 우울증의 상대적 고위험군에서 수면의 질을 개선하고 수면 습관을 적절히 유지하도록 개입하는 것이 우울증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99 View
  • 0 Download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