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Search

Page Path
HOME > Search
2 "Shift work schedule"
Filter
Filter
Article category
Keywords
Publication year
Authors
Case Report
Prostate cancer in workers exposed to night-shift work: two cases recognized by the Kore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Evaluation Committee
Sungkyun Park, Seongwon Ma, Hoekyeong Seo, Sang Gil Lee, Jihye Lee, Shinhee Ye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52.   Published online December 7,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52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In 2019,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re-evaluated the carcinogenicity of night-shift work and reported that there is limited evidence that night-shift work is carcinogenic for the development of prostate cancer. Therefore, in 2020 and 2021, the Kore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Evaluation Committee concluded that 2 cases of prostate cancer were occupational diseases related to the night-shift work. Here, we report the 2 cases of prostate cancer in night-shift workers which were first concluded as occupational diseases by the Kore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Evaluation Committee.

Case presentation

Patient A: A 61-year-old man worked as a city bus driver for approximately 17 years, from 2002 to 2019, and was exposed to night-shift work during this period. In March 2017,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high-grade prostate cancer through core-needle biopsy after experiencing stinging pain lasting for 2 months. Patient B: A 56-year-old man worked as an electrician and an automated equipment operator in a cement manufacturing plant for 35 years from 1976 to 2013 and was exposed to night-shift work during this period. In 2013,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high-grade prostate cancer through core needle biopsy at a university hospital because of dysuria that lasted for 6 months.

Conclusions

The 2 workers were diagnosed with high-grade prostate cancer after working night shifts for 17 and 35 years respectively. Additionally,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high-grade prostate cancer has a stronger relationship with night-shift work than low or medium-grade prostate cancer. Therefore, the Kore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Evaluation Committee concluded that night-shift work in these 2 patient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ir prostate cancer.

야간교대근무 근로자에서 발생한 전립선암 2례
배경
2019년 국제암연구소(IARC)은 야간교대근무의 발암성을 재평가하였고 야간교대근무와 전립선암이 양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2020년과 2021년에 역학조사평가위원회는 두 명의 야간교대근무 근로자에서 발생한 전립선암이 야간교대근무와 관련된 직업병이라고 결론지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직업병으로 인정된 야간교대근무 근로자에서 발생한 전립선암 2건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증례
남성 근로자 A는 만 61세에 두 달간 지속된 찌르는 듯한 증상으로 비뇨기과를 방문하였고전립성특이항원 검사와 전립선 중심바늘생검을 받은 후 전립선암을 진단받았다. 근로자 A 는 2002년부터 2019년까지 시내버스를 운행하였고, 약 17년간 야간교대근무를 하면서 하루에 10시간 이상, 주당 6일간 업무를 수행하였다. 남성 근로자 B는 6개월간 지속된 배뇨곤란 증상으로 병원에서 중심바늘생검을 통해 전립선암을 진단받았다. 근로자 B는 1976년부터 2013년까지 시멘트 제조공장에서 전기기사와 자동화기기 오퍼레이터로 근무하였으며, 약 35년간 야간교대근무에 노출되었다. 근로자 A와 B는 전립선암 조직검사에서 Gleason’s score가 높은 공격적인 전립선암을 진단받았고, 업무 중 디젤엔진배출물질에도 노출되었다.
고찰
국제암연구소는 야간교대근무가 전립선암 발암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한적인 근거가 있다고 하였다. 이 외에도 2018년에 보고된 프랑스의 환자-대조군 연구는 긴 교대시간 길이(>10시간), 최소 6박 연속 야간근무, 장기간(20년 이상 또는 1,314일 이상)의 영구적인 야간근무가 공격적인 전립선암과 특히 유의한 연관성이 있다고 하였다. 몇 건의 메타분석 연구에서도 야간교대근무가 전립선암과 유의하다는 결과가 있었고, 특히 아시아 국가 남성에서 그 결과가 유의하다고 하였다. 또한, 디젤엔진배출물질과 전립선암이 유의한 연관성이 있다는 문헌이 일부 확인되었다. 따라서, 역학조사평가위원회는 두 근로자에서 발생한 전립선암에 대한 업무관련성의 과학적 근거가 상당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야간교대근무가 전립선암 발병에 기여하는 위험성을 인지하고, 야간교대근무 근로자를 대상으로 작업시간 조절과 전립선암의 조기발견을 위한 적절한 건강검진 제공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Relationship between non-standard work arrangements and work-related accident absence in Belgium
    Hanan Alali, Lutgart Braeckman, Tanja Van Hecke, Bart De Clercq, Heidi Janssens, Magd Abdel Wahab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2017; 59(2): 177.     CrossRef
  • 446 View
  • 4 Download
  • 1 Crossref
Close layer
Original Articl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the risk of hypothyroidism in adult male workers in Korea: a cohort study
Seonghyeon Kwon, Yesung Lee, Eunhye Seo, Daehoon Kim, Jaehong Lee, Youshik Jeong, Jihoon Kim, Jinsook Jeong, Woncheol Lee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41.   Published online October 19,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41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PubReaderePub
Background

Shift work has been reported to have several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However, a small number of studies hav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adverse effects on the thyroid. In our longitudinal study, we examined the causal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the risk of hypothyroidism.

Methods

A Kangbuk Samsung Cohort Study was conducted on 112,648 men without thyroid disease at baseline who were followed up at least once between 2012 and 2019. Shift work status and shift schedule types were categorized using standardized questionnaires. Hypothyroidism was defined using the reference ranges of serum thyroid-stimulating hormones and free thyroxine levels. Hazard ratios (H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incident hypothyroidism were estimat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analyses with the daytime work group as the reference.

Results

During the 501,237 person-years of follow-up, there were 6,306 incident cases of hypothyroidism (incidence density, 1.26 per 100 person-years). The multivariable-adjusted HR of incident hypothyroidism for the shift work total group that included all shifts compared with the daytime work group was 1.27 (95% CI: 1.15–1.40). For the fixed evening, fixed night, rotating shift, and other shift workers, the multivariable-adjusted HRs (95% CI) were 1.11 (0.76–1.61), 2.18 (1.20–3.93), 1.39 (1.23–1.56), and 1.00 (0.82–1.22), respectively. In subgroup analyses by age,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hypothyroidism was more pronounced in younger participants (< 40 years; HR: 1.31; 95% CI: 1.16–1.47).

Conclusions

Our large-scale cohort study showed an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the incidence of hypothyroidism, especially in younger workers with night shifts.

한국 성인 남성 근로자에서 교대근무와 갑상선 기능 저하증 위험의 연관성: 코호트 연구
목적
교대 근무는 인체에 여러 가지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소수의 연구만이 교대 근무와 갑상선에 대한 이상 반응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이번 종단 연구에서는, 교대 근무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위험 간의 인과 관계를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본 강북삼성 코호트 연구는 2012년과 2019년 사이에 최소 한 번 이상 추적 검사를 받았고, 연구 시작 시점에서 갑상선 질환이 없는 112,648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표준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교대근무 현황 및 교대근무 유형을 분류하였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혈청 갑상선 자극 호르몬과 유리 티록신 수치의 참고치를 기준으로 정의되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대한 위험비(HR)와 95% 신뢰구간(CI)은 주간 근무 그룹을 기준으로 콕스 비례위험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추정되었다.
결과
501,237인년의 추적 조사 기간 중 6,306건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 케이스가 발생하였다 (발생밀도, 100인년당 1.26). 주간 근무 그룹과 비교하여 모든 교대 근무 유형을 포함한 그룹에 대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다변량 조정 위험비는 1.27 (95% 신뢰구간, 1.15–1.40)이었다. 고정 저녁, 고정 야간, 윤번 교대 및 기타 교대 근무 그룹의 경우 다변량 조정 위험비 (95% 신뢰구간)는 각각 1.11 (0.76–1.61), 2.18 (1.20–3.93), 1.39 (1.23–1.56) 및 1.00 (0.82–1.22)이었다. 연령에 따른 하위집단 분석에서 교대근무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연관성은 젊은 참가자들에게서 더 두드러졌다 (<40세; 위험비, 1.31; 95% 신뢰구간, 1.16–1.47).
결론
본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특히 야간 근무를 하는 젊은 근로자들에서, 교대 근무와 갑상선 기능 저하증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270 View
  • 7 Download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