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plores the theoretical foundations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medical certification within the sickness benefit systems,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Korea’s pilot program and its planned national rollout. While sickness benefit systems have long existed in many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countries, Korea has only recently initiated pilot projects, largely prompted by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These systems aim to compensate for income loss due to illness or injury, and medical certification plays a central role in determining eligibility and work ability. This study defines medical certification as a two-stage process: clinical diagnosis and formal assessment of a worker’s ability to return-to-work. The dual nature highlights the distinct objectives of the medical treatment and social security policies. Drawing on international practices, this study reviews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as a key global framework for assessing disability and work ability, although it acknowledges the limitations of its application to sickness benefits. The research emphasizes a shift in global trends toward return-to-work–oriented certification models, such as the UK’s “fit note” system, which focuses on evaluating fitness-for-work rather than merely documenting illness. Sweden and Japan also offer models that integrate rehabilitation with flexible work accommodations. Three key issues were identified in Korea’s system: the role of medical certification and concerns about moral hazard, the burden of proof and workload on physicians, and public perceptions of the program’s purpose. We believe that medical certification should not only verify illness but also support early intervention and a healthy workforce. Ultimately, this study advocates for a balanced and efficient medical certification system tailored to Korea’s healthcare context closely aligning with labor market policies to ensure long-term sustenance and integration of the sickness benefit program.
상병수당 제도에서의 의료인증체계(1): 이론적 배경과 직장복귀 본 연구는 한국의 시범사업과 향후 전국적 시행을 앞둔 상황에서 상병수당 제도에서 의료인증의 이론적 기반과 실제적 적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상병수당 제도는 많은 OECD 국가에서 오래전부터 시행되어 왔으나, 한국에서는 COVID-19 팬데믹을 계기로 최근에야 시범사업이 시작되었다. 이 제도는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소득 상실을 보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의료증명은 수급 자격 및 업무 수행 능력을 판단하는 핵심적 요소이다.
의료인증은 진단이라는 1단계와, 업무복귀 가능성을 공식적으로 평가하는 2단계로 구성되며, 이는 의료적 목적과 사회보장 정책 목적의 차이를 드러낸다. 국제적 관행을 참고하여, 본 연구는 장애 및 업무능력 평가의 세계적 기준인 ‘기능장애건강국제분류(ICF)’를 검토하되, 이를 상병수당에 적용하는 데 있어 한계점도 지적한다. 연구는 세계적으로 ‘복귀 중심(return-to-work)’ 의료증명 체계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강조한다. 예를 들어, 영국의 ‘핏 노트(fit note)’ 제도는 단순한 질병 증명에서 벗어나 업무수행 가능성을 평가하는 방식이다. 스웨덴과 일본은 재활과 유연한 업무조정을 포함한 모델을 운영 중이다.
한국 제도 설계에서 중요한 세 가지 이슈는 의료인증의 역할과 도덕적 해이 우려, 의료진의 입증 책임 및 행정 부담, 그리고 제도 목적에 대한 대중의 오해이다. 본 연구는 의료적 증명이 단순한 질병 확인을 넘어 조기 개입과 건강한 노동력 유지로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의 의료이용 환경에 적합하고 노동시장 정책과 조화를 이루는, 균형 있고 효율적인 의료증명 체계의 구축을 제안한다. 이는 상병수당 제도의 지속 가능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Medical certification in sickness benefit scheme (II): practical approaches for evaluating work disability Yangwoo Kim, Inah Kim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2025; 37: e24. Cross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