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Search

Page Path
HOME > Search
1 "Commute time"
Filter
Filter
Article category
Keywords
Publication year
Authors
Original Article
Correlation of commute time with the risk of subjective mental health problems: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Hyo Choon Lee, Eun Hye Yang, Soonsu Shin, Seoung Ho Moon, Nan Song, Jae-Hong Ryoo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9.   Published online May 11,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9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Studies conducted so far on the link between commute time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s remain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e time and subjective mental health using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Methods

Self-reported commute time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 30 (group 1), 30–60 (group 2), 60–120 (group 3), and > 120 minutes (group 4). Subjective depression was defined as a score of 50 points or less on the WHO-5 well-being index. Subjective anxiety and fatigue were defined as answering ‘yes’ to the questionnaire on whether they had experienced it over the past year. The analysis of variance, t-test, and χ2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according to commute time,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according to commute time were calculated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adjusted for sex, age, monthly income, occupation, company size, weekly working hours, and shift work status.

Results

Long commute times showed increased ORs and graded increasing trends for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The ORs for depress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2 (1.06 [1.01–1.11]), group 3 (1.23 [1.13–1.33]), and group 4 (1.31 [1.09–1.57]) compared to group 1 (reference). The ORs for anxiety in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2 (1.17 [1.06–1.29]), group 3 (1.43 [1.23–1.65]) and group 4 (1.89 [1.42–2.53]). The ORs for fatigue in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2 (1.09 [1.04–1.15]), group 3 (1.32 [1.21–1.43]), and group 4 (1.51 [1.25–1.82]).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e risk of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increases with commute time.

통근 시간과 주관적 정신건강문제 위험의 상관관계 : 제6차 한국근로환경조사
목적
한국인들의 통근 시간과 정신 건강의 관계에 대해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6차 한국근로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통근 시간과 주관적 정신건강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자가 보고된 통근 시간은 30분 이하(1군), 30분-60분(2군), 60분-120분(3군), 120분 초과(4군)의 4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주관적 우울은 WHO-5 웰빙 지수 50점 이하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주관적 불안과 피로는 지난 1년간 이러한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는지에 대한 설문지에 '그렇다'고 대답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분산분석, T-검정 및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여 출퇴근 시간, 우울, 불안, 피로에 따른 연구 참여자들의 특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성별, 연령, 월 소득, 직업, 회사 규모, 주당 근로 시간, 교대근무 상태를 보정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통근 시간에 따른 우울, 불안, 피로에 대한 오즈비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결과
긴 통근 시간은 우울, 불안, 피로에 대한 오즈비 증가 및 점진적인 상승 추세를 보여주었다. 우울에 대한 오즈비는 2군(1.06[1.01-1.11]), 3군(1.23[1.13-1.33])과 4군(1.31[1.09-1.57])에서 1군(참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불안에 대한 오즈비는 2군(1.17[1.06-1.29]), 3군(1.43[1.23-1.65])과 4군(1.89[1.42-2.53])에서 유의하게 증가했다. 피로에 대한 오즈비는 2군(1.09[1.04-1.15]), 3군(1.32[1.21-1.43])과 4군(1.51[1.25-1.82])에서 유의하게 증가했다.
결론
본 연구는 출퇴근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우울증, 불안, 피로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 491 View
  • 6 Download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