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Search

Page Path
HOME > Search
3 "Chronotype"
Filter
Filter
Article category
Keywords
Publication year
Authors
Original Articles
Mediation analysis of chronotype, sleep-related factor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workers: a cross-sectional study
Seo Young Kim, Hyo Jeong Kim, Seong-Sik Cho, Min Young Park, Mo-Yeol Kang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47.   Published online November 20,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47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PubReaderePub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chronotype on depressive symptoms and explore the mediating effects of sleep quality, pre-sleep cognitive arousal, and social jetlag in a sample of wage earners.

Methods

A total of 3,917 waged workers were surveyed online in July 2022. Logistic regression and mediation analysis were us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otype (morningness, intermediate, and eveningness) and depressive symptom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 5),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Insomnia Severity Index (ISI),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Pre-Sleep Arousal Scale (PSAS). All analyses were adjusted for age, education level, income level, marital status, coffee consumption,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occupation, employment status, and working hours to calculate odds ratios (ORs).

Results

The chronotypes of all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morningness (4.7%), intermediate (93.5%), and eveningness (1.8%).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an increased risk of depression in the eveningness chronotype (OR: 2.96; 95% confidence interval [CI]: 1.51, 5.86). Regarding the mediation analysis, ISI mediated 28.44% (95% CI: 16.39–40.5), PSQI for 31.25% (95% CI: 19.36, 43.15), and PSAS-Cognitive Score (PSAS-C) for 23.58% (95% CI: 10.66, 36.50) of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otype and depressive symptoms. However, social jetlag did not significantly mediate this relationship. (percentage mediated = 0.75%, 95% CI: −3.88, 5.39)

Conclusions

Evening chronotypes exhibit an increased risk of depressive symptoms, which ISI, PSQI, and PSAS-C partially mediated. This suggests that interventions to improve sleep quality and maintain adequate sleep habits may effectively prevent and treat depression in employees with an eveningness chronotype.

직장인의 크로노타입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수면 관련 요인의 매개 분석
목적
본 연구는 국내 임금 근로자를 대상으로 크로노타입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과 수면의 질, 수면 전 인지적 각성, 사회적 시차 등의 매개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2022년 7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모집한 만 19세 이상의 임금 근로자 3917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성별을 층화하여 크로노타입 (아침형, 중간형, 저녁형)과 우울증상 간의 관계를 살펴본 후,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불면척도, 수면의 질, 수면 전 각성 척도, 사회적 시차의 각각의 우울 증상에 대한 매개 효과를 계산했다. 모든 분석은 연령, 교육수준, 소득, 결혼 여부, 동거인 여부, 커피, 흡연, 음주, 신체활동, 직종, 고용형태, 근무 시간을 보정하였다.
결과
참가자는 아침형(4.7%), 중간형(93.5%), 저녁형(1.8%)으로 나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업무 관련 요인을 통제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저녁형 그룹에서 우울증상 오즈비는 2.95 (95% 신뢰구간: 1.51–5.86)로 아침형 그룹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매개 분석 결과에서 불면 척도는 28.44% (95% 신뢰구간 16.39–40.5), 수면의 질은 31.25% (95% 신뢰구간 19.36–43.15), 수면 전 인지적 각성척도은 23.58% (95% 신뢰구간 10.66–36.50)를 매개하였다. 그러나 사회적 시차는 매개 효과가 0.75% (95% 신뢰구간 -3.88–5.39)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저녁형 크로노타입을 가진 근로자들이 아침형 근로자보다 우울증상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매개 효과 분석에서는 불면 척도, 수면의 질과 수면 전 인지적 각성이 우울 증상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저녁형 크로노타입 근로자들과 같은 우울증의 상대적 고위험군에서 수면의 질을 개선하고 수면 습관을 적절히 유지하도록 개입하는 것이 우울증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99 View
  • 0 Download
Close layer
Associations of chronotype and insomnia with menstrual problems in newly employed nurses at university hospitals in the Republic of Korea
Han-Na Jung, Dongwhan Suh, Woo Chul Jeong, Jia Ryu, Yu-Mi Kim, Seohyun Yoon, Hyunjoo Kim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30.   Published online August 4,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30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Dysmenorrhea and menstrual cycle changes occur in women working shifts. Circadian rhythm disruption and sleep disturbances associated with shift work leads to health problems. We identified chronotypes and the occurrence of insomnia among newly employed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these factors with menstrual problems.

Methods

We conducted pre-placement health examinations for shift workers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between 2018 and 2020. A total of 463 nurs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Sociodemographic data, shift work experience, and information on insomnia were collected from health examination data. In addition, details regarding chronotype, dysmenorrhea, irregular and abnormal menstrual cycles, amenorrhea, and contraceptive use were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study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otype, insomnia, and menstrual problems after controlling for age, body mass index, contraceptive use, amenorrhea, and prior shift work.

Results

The prevalence rates of dysmenorrhea, irregular menstrual cycles, and longer menstrual cycles were 23.8%, 14.9%, and 4.1%, respectively. The risk of dysmenorrhea increased in the evening-type (odds ratio [OR]: 3.209; 95% confidence interval [CI]: 1.685–6.113) and those with insomnia (OR: 1.871; 95% CI: 1.074–3.261). Additionally, the risk of an irregular menstrual cycle (OR: 2.698; 95% CI: 1.167–6.237) increased in the evening-type, and the risk of a longer menstrual cycle (OR: 4.008; 95% CI: 1.354–11.864) increased in individuals with insomnia.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dysmenorrhea is promoted in the evening-type and insomnia individuals. There may be an increased risk of irregular menstrual cycles among evening-type nurses and an increased risk of longer menstrual cycles among those with insomnia. Therefore, factors such as evening-type and insomnia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prevention of menstrual problems in women performing shift work.

대학병원 신입 간호사에서 수면 관련 요인과 월경 건강과의 연관성
목적
이 연구는 간호사의 건강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개발하는 데 있어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일주기리듬 유형(크로노 타입) 및 불면 증상과 월경 건강 관련 문제들과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야간작업에 대한 배치 전 건강진단을 받은 두 개 대학병원에서 근무 중인 463명의 신규 간호사이다. 배치 전 건강진단 자료에서 연령, 체질량지수, 흡연, 음주, 운동 정도, 이전 교대 근무 경험 여부, 불면 증상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였다. 일주기 리듬 유형, 피임방법 사용 여부, 무월경 경험, 월경통 및 월경주기의 규칙성과 간격에 대한 정보는 설문조사로 확인하였다. 연령, 체질량지수, 피임방법 사용 여부, 무월경 경험, 교대 근무 경험을 통제하여 일주기리듬 유형 및 불면 증상의 월경 건강 관련 문제들에 대한 위험비를 산출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월경곤란증, 불규칙한 월경주기, 긴 월경주기의 유병률은 각각 23.8%, 14.9%, 4.1%였다. 월경통에서 저녁형 일주기리듬 유형의 오즈비가 저녁형 외 일주기리듬 유형 그룹에 비해 3.209배(95% C.I. 1.685-6.113) 높았고, 불면 증상이 있다면 1.871배 (95% C.I. 1.074-3.261) 높았다. 또한 저녁형 일주기 리듬은 월경주기 간격이 불규칙한 경우에(오즈비 2.698 95% C.I. 1.167-6.237), 불면 증상이 있다면 40일 이상의 긴 월경 주기에(오즈비 4.008 95% C.I. 1.354-11.864)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우리 연구 결과로 저녁형 일주기리듬 유형 간호사에서 월경통과 불규칙 월경 이상이 관찰될 확률이 더 높고, 불면 증상이 있는 집단에서 월경통과 긴 월경주기가 증가할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다. 저녁형 일주기리듬과 불면 증상 같은 요인들은 여성 근로자의 월경 건강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연구하는 데 있어 고려해야 할 것들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 100 View
  • 1 Download
Close layer
Relationship between chronotyp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newly hired hospital nurses in the Republic of Korea
Semi Lee, Han-Na Jung, Jia Ryu, Woo-Chul Jung, Yu-Mi Kim, Hyunjoo Kim
Ann Occup Environ Med 2022;34:e32.   Published online October 31, 2022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2.34.e32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otype and depressive symptoms to provide grounded knowledge in establishing nurses’ health promotion strategie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93 newly hired nurses working in 2 general hospitals within the university from September 2018 to September 2020. Sociodemographic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were collected from a medical examination database an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se included sex, age, marital status, living situation, education level,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prior work experience before 3 months, workplace, and departments. To analyz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chronotype and depressive symptom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o calculate odds ratios (ORs).

Results

Among participants, 9.1% had depressive symptoms and 16.4% had insomnia.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morningness (30.2%), intermediate (48.7%), and eveningness (21.1%).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trolling for age, living status, education level,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workplace, prior work experience before 3 months, and insomnia, revealed that the OR of depressive symptoms in the eveningness group was 3.71 (95% confidence interval [CI]: 1.50–9.18) compared to the morningness group, and the R2 value was 0.151. It also can be confirmed that insomnia symptom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OR: 2.16, 95% CI: 1.03–4.52).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evening-type nurses are more likely to have depression than morning-type nurses. We should consider interventions in a high-risk group such as the evening type nurses to reduce depressive symptoms in nurses.

신입 간호사에서 일주기리듬 유형과 우울 증상의 관련성
목적
이 연구는 간호사의 건강증진 전략 수립에 기초 지식을 제공하기 위해 일주기리듬 유형(크로노타입)과 우울 증상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2018년 9월부터 2020년 9월까지 2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신입간호사 493명이었다.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업무관련 특성은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와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성별, 연령, 결혼 여부, 생활 상황, 교육 수준, 음주, 신체 활동, 3개월 내 업무 경험, 직장 및 부서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일주기리듬 유형과 우울 증상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연령, 생활수준, 학력, 음주, 신체활동, 직장, 직장경력, 불면증 등을 통제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참가자의 9.1%가 우울 증상이 있었고, 16.4%가 불면 증상이 있었다. 일주기리듬 유형은 아침형(30.2%), 중간형(48.7%), 저녁형(21.1%)으로 구분하였다. 앞서 언급한 혼란 변수를 모두 통제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저녁시간 집단의 우울 증상의 오즈비는 3.71(95% C.I. 1.50- 9.18) 아침형 그룹과 비교하여 R 제곱값은 0.151이었다. 또한 불면증 증상도 우울 증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OR = 2.16(95% C.I. 1.03-4.52)).
결론
우리 연구는 저녁형 간호사가 아침형 간호사보다 우울증에 걸릴 확률이 더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간호사의 우울 증상을 줄이기 위해 저녁형 일주기리듬유형을 가진 간호사와 같은 고위험군에 대한 개입을 고려해야 한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Relationship between mid-sleep time and depressi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leep deprivation in the 2018 Korea Community Health Survey
    Mee-Ri Lee, Sung Min Jung, Seung Hee Choi, Hyeonji Hwang, Youngs Chang, Young Hwangbo
    Chronobiology International.2024; 41(1): 1.     CrossRef
  • Factors associated with chronotype, job burnout, and perceived stress among nurses in Chinese tertiary hospitals: A multicenter cross-sectional study
    Lijun Li, Xingxing Wang, Jian Zhou, Min Liu, Sha Wang, Yi Zhou, Yuxuan Li, Yue Kang, Jianfei Xie, Andy S. K. Cheng
    Chronobiology International.2024; 41(7): 1058.     CrossRef
  • Is evening chronotype associated with higher alcohol consump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Rafaela Sirtoli, Gabriel Dionisio Gotardo Mata, Renne Rodrigues, Vicente Martinez-Vizcaíno, José Francisco López-Gil, Camilo Molino Guidoni, Arthur Eumann Mesas
    Chronobiology International.2023; 40(11): 1467.     CrossRef
  • Mediation analysis of chronotype, sleep-related factor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workers: a cross-sectional study
    Seo Young Kim, Hyo Jeong Kim, Seong-Sik Cho, Min Young Park, Mo-Yeol Kang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2023;[Epub]     CrossRef
  • 75 View
  • 1 Download
  • 4 Web of Science
  • 4 Crossref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