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Author index

Page Path
HOME > Browse articles > Author index
Search
Yong Tae Park 2 Articles
Association between serum perfluoroalkyl substances concentrations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mong Korean adult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cycle 4
Yong Tae Park, Eui Yup Chung, Chang Ho Chae, Young Hoon Lee
Ann Occup Environ Med 2024;36:e10.   Published online April 8, 2024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4.36.e10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Perfluoroalkyl substances (PFAS) are widely used in industry and daily life due to their useful properties. They have a long half-life, accumulate in the body, and there is evidence that they are associated with biomarkers of lipid metabolism and liver damage. This may suggest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caused by PFAS. However, since there has been no stud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FAS and NAFLD in the entire population in Korea. We sought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PFAS concentration and NAFLD prevalence in Korean adults using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KoNEHS) cycle 4.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529 subjects in 2018–2019 among KoNEHS participants. For the diagnosis of NAFLD, the hepatic steatosis index (HSI) was used, and the geometric mean and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serum PFAS were presented.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increase in the risk of NAFLD due to changes in PFAS concentration, and the odds ratio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Results

In both adjusted and unadjusted models, an increased odds ratio was observed with increasing serum concentrations of total PFAS and perfluorooctane sulfonate (PFOS) in the non-obese group. In the adjusted model, the odds ratios for serum total PFAS and PFOS were 6.401 (95% CI: 1.883–21.758) and 7.018 (95% CI: 2.688–18.319).

Conclusions

In this study, a higher risk of NAFLD based on HSI was associated with serum total PFAS, PFOS in non-obese group. Further research based on radiological or histological evidence for NAFLD diagnosis and long-term prospective studies are necessar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reduce exposure to PFAS in industry and daily life.

대한민국 성인의 혈청 과불화화합물 농도와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연관성 : 제4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를 이용한 단면연구
목적
과불화 화합물(이하 PFAS)는 그 유용한 특성들로 인하여 산업 및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이들은 긴 반감기를 지녀 생체 내에 축적되며, 지질 대사 및 간 손상의 바이오마커들과 연관이 있다는 여러 증거들이 있다. 이는 PFAS와 비알코올성 지방간(이하 NAFLD)의 연관성을 시사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PFAS와 NAFLD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기에 제4주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를 이용하여 대한민국 성인에서 혈청 PFAS의 농도와 NAFLD 유병률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제4주기 국민환경보건 기초조사 참여자 중 2018-2019년 대상자 259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NAFLD의 진단을 위해 Hepatic Steatosis Index(이하 HSI)를 사용하였으며, 혈청 PFAS의 기하평균 및 농도 분포를 제시하였다. PFAS의 농도 변화에 따른 NAFLD의 위험도 증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차비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결과
조정되지 않은 모델 및 조정된 모델의 비만하지 않은 그룹에서 혈청 총 PFAS, PFOS의 농도 증가에 따른 교차비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조정된 모델에서 혈청 총 PFAS 및 PFOS의 교차비는 각각 6.401 (95% CI 1.883–21.758) and 7.018 (95% CI 2.688-18.319)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HSI에 기초한 NAFLD의 더 높은 위험은 비만하지 않은 군에서 혈청 총 PFAS 및 PFOS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PFAS에 의한 NAFLD 발생의 위험에 대한 영상 또는 조직 병리에 기반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일상 생활 및 산업 전반에 있어 PFAS에의 노출을 줄이기 위한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Diabetes and male fertility disorders
    Andrea Graziani, Raffaele Scafa, Giuseppe Grande, Alberto Ferlin
    Molecular Aspects of Medicine.2024; 99: 101303.     CrossRef
  • 136 View
  • 11 Download
  • 1 Web of Science
  • 1 Crossref
Close layer
Association between unpredictable work schedule and work-family conflict in Korea
Sang Moon Choi, Chan Woo Kim, Hyoung Ouk Park, Yong Tae Park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46.   Published online November 10,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46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As unpredictable work schedule (UWS) has increased worldwide,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esulting health effects on workers. However, research on the effect of UWS on workers' well-being in Korea is still insufficien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WS and work-family conflict (WFC) using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Methods

Both UWS and WFC were measur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using data from the 6th KWCS conducted between 2020 and 2021, including 31,859 participants. UWS was measured by questions regarding the frequency of changes in work schedules and limited advanced notice. WFC was measured by questions regarding work to family and family to work conflict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UWS and WFC.

Results

The prevalence of UWS was higher among men, those under 40 years old, service and sales workers and blue-collar workers, and those with higher salaries. Workplace size also influenced UWS prevalence, with smaller workplaces (less than 50 employees) showing a higher prevalence. The odds ratio (OR) for WFC was significantly higher in workers with UWS compared to workers without UWS after adjusting for gender,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salary, education, weekly working hours, shift work, company size, and having a child under the age of 18 years, employment status (OR: 3.71; 95% confidence interval: 3.23–4.25).

Conclusions

The analysis of nationwide data revealed that UWS interferes with workers’ performance of family roles, which can lead to WFC.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crucial to implement policies to address unfair work schedule management, promoting a healthier work-life balance and fostering a conducive environment for family responsibilities.

예측 불가능한 근무 일정과 일-가정 갈등의 연관성
목적
전 세계적으로 예측 불가능한 근무 일정(unpredictable work schedule, UWS)이 증가함에 따라, 근로자에게 미치는 건강 영향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UWS가 근로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국내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본 연구는 제6차 한국근로환경조사(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를 이용하여 UWS와 일-가정 갈등(Work-Family Conflict, WFC)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20년과 2021년 사이에 수행된 제6차 KWCS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총 31859명이 연구 대상으로 포함되었고 UWS와 WFC는 모두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측정되었다. UWS는 업무 일정의 변경 빈도 및 제한된 사전통지에 관한 질문으로 측정되었으며, WFC는 업무로부터 발생하는 가족 갈등과 및 가족으로 발생하는 업무 갈등에 관한 질문으로 측정되었다. UWS와 WFC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UWS는 남성, 40세미만, 서비스 및 판매 종사자, 블루칼라 종사자, 그리고 더 높은 급여를 받는 사람들 사이에서 더 많았다. 작업장 규모도 UWS에 영향을 미쳤으며, 소규모 작업장(직원 수 50명 미만)에서 더 많았습니다. WFC의 오즈비는 성별, 연령, 결혼 여부, 직업, 급여, 교육, 주간 근로시간, 교대근무, 회사 규모, 18세 미만 자녀 여부, 정규직 여부를 보정한 후 나타난 결과에서 UWS가 없는 근로자에 비해 UWS가 있는 근로자에서 유의하게 높았다(OR: 3.78, 95% CI: 3.28-4.34).
결론
전국적인 자료를 분석한 결과, UWS가 근로자의 가족 역할 수행을 방해하여 WFC를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근로자에게 건강한 일과 삶의 균형을 제공하고 가족 역할을 수행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불공정한 근무 일정 관리를 해소시키는 정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 70 View
  • 2 Download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