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Author index

Page Path
HOME > Browse articles > Author index
Search
Sungkyun Park 2 Articles
Prostate cancer in workers exposed to night-shift work: two cases recognized by the Kore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Evaluation Committee
Sungkyun Park, Seongwon Ma, Hoekyeong Seo, Sang Gil Lee, Jihye Lee, Shinhee Ye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52.   Published online December 7,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52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In 2019,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re-evaluated the carcinogenicity of night-shift work and reported that there is limited evidence that night-shift work is carcinogenic for the development of prostate cancer. Therefore, in 2020 and 2021, the Kore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Evaluation Committee concluded that 2 cases of prostate cancer were occupational diseases related to the night-shift work. Here, we report the 2 cases of prostate cancer in night-shift workers which were first concluded as occupational diseases by the Kore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Evaluation Committee.

Case presentation

Patient A: A 61-year-old man worked as a city bus driver for approximately 17 years, from 2002 to 2019, and was exposed to night-shift work during this period. In March 2017,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high-grade prostate cancer through core-needle biopsy after experiencing stinging pain lasting for 2 months. Patient B: A 56-year-old man worked as an electrician and an automated equipment operator in a cement manufacturing plant for 35 years from 1976 to 2013 and was exposed to night-shift work during this period. In 2013,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high-grade prostate cancer through core needle biopsy at a university hospital because of dysuria that lasted for 6 months.

Conclusions

The 2 workers were diagnosed with high-grade prostate cancer after working night shifts for 17 and 35 years respectively. Additionally,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high-grade prostate cancer has a stronger relationship with night-shift work than low or medium-grade prostate cancer. Therefore, the Korean Epidemiologic Investigation Evaluation Committee concluded that night-shift work in these 2 patient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their prostate cancer.

야간교대근무 근로자에서 발생한 전립선암 2례
배경
2019년 국제암연구소(IARC)은 야간교대근무의 발암성을 재평가하였고 야간교대근무와 전립선암이 양의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2020년과 2021년에 역학조사평가위원회는 두 명의 야간교대근무 근로자에서 발생한 전립선암이 야간교대근무와 관련된 직업병이라고 결론지었다. 따라서 국내에서 처음으로 직업병으로 인정된 야간교대근무 근로자에서 발생한 전립선암 2건의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증례
남성 근로자 A는 만 61세에 두 달간 지속된 찌르는 듯한 증상으로 비뇨기과를 방문하였고전립성특이항원 검사와 전립선 중심바늘생검을 받은 후 전립선암을 진단받았다. 근로자 A 는 2002년부터 2019년까지 시내버스를 운행하였고, 약 17년간 야간교대근무를 하면서 하루에 10시간 이상, 주당 6일간 업무를 수행하였다. 남성 근로자 B는 6개월간 지속된 배뇨곤란 증상으로 병원에서 중심바늘생검을 통해 전립선암을 진단받았다. 근로자 B는 1976년부터 2013년까지 시멘트 제조공장에서 전기기사와 자동화기기 오퍼레이터로 근무하였으며, 약 35년간 야간교대근무에 노출되었다. 근로자 A와 B는 전립선암 조직검사에서 Gleason’s score가 높은 공격적인 전립선암을 진단받았고, 업무 중 디젤엔진배출물질에도 노출되었다.
고찰
국제암연구소는 야간교대근무가 전립선암 발암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제한적인 근거가 있다고 하였다. 이 외에도 2018년에 보고된 프랑스의 환자-대조군 연구는 긴 교대시간 길이(>10시간), 최소 6박 연속 야간근무, 장기간(20년 이상 또는 1,314일 이상)의 영구적인 야간근무가 공격적인 전립선암과 특히 유의한 연관성이 있다고 하였다. 몇 건의 메타분석 연구에서도 야간교대근무가 전립선암과 유의하다는 결과가 있었고, 특히 아시아 국가 남성에서 그 결과가 유의하다고 하였다. 또한, 디젤엔진배출물질과 전립선암이 유의한 연관성이 있다는 문헌이 일부 확인되었다. 따라서, 역학조사평가위원회는 두 근로자에서 발생한 전립선암에 대한 업무관련성의 과학적 근거가 상당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야간교대근무가 전립선암 발병에 기여하는 위험성을 인지하고, 야간교대근무 근로자를 대상으로 작업시간 조절과 전립선암의 조기발견을 위한 적절한 건강검진 제공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Relationship between non-standard work arrangements and work-related accident absence in Belgium
    Hanan Alali, Lutgart Braeckman, Tanja Van Hecke, Bart De Clercq, Heidi Janssens, Magd Abdel Wahab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2017; 59(2): 177.     CrossRef
  • 84 View
  • 0 Download
  • 1 Crossref
Close layer
Assessment of risks for breast cancer in a flight attendant exposed to night shift work and cosmic ionizing radiation: a case report
Dong Joon Park, Sungkyun Park, Seong Won Ma, Hoekyeong Seo, Sang Gil Lee, Kyung-Eun Lee
Ann Occup Environ Med 2022;34:e5.   Published online March 22, 2022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2.34.e5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PubReaderePub
Background

Some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estimated exposure among flight attendants with and without breast cancer.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occupational exposure factors related to cancer development individually in the case of breast cancer in flight attendants. That is, most, if not all, epidemiological studies of breast cancer in flight attendants with quantitative exposure estimates have estimated exposure in the absence of individual flight history data.

Case presentation

A 41-year-old woman visited the hospital due to a left breast mass after a regular check-up. Breast cancer was suspected on ultrasonography. Following core biopsy, she underwent various imaging modalities. She was diagnosed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no special type (estrogen receptor positive in 90%, progesterone receptor positive in 3%,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neu equivocal) with histologic grade 3 and nuclear grade 3 in the left breast. Neoadjuvant chemotherapy was administered to reduce the tumor size before surgery. However, due to serious chemotherapy side effects, the patient opted for alternative and integrative therapies. She joined the airline in January, 1996. Out of all flights, international flights and night flights accounted for 94.9% and 26.2, respectively. Night flights were conducted at least four times per month. Moreover, based on the virtual computer program CARI-6M, the estimated dose of cosmic radiation exposure was 78.81 mSv. There were no other personal triggers or family history of breast cancer.

Conclusions

This case report shows that the potentially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harmful factors and the incidence of breast cancer may become more pronounced when night shift workers who work continuously are exposed to cosmic ionizing radiation. Therefore, close attention and efforts are needed to adjust night shift work schedules and regulate cosmic ionizing radiation exposure.

국제항공 승무원에서 발생한 유방암 사례와 업무관련성 평가
배경
유방암은 여성에게 가장 흔하게 진단되는 암으로, 전리방사선과 야간교대근무와 같은 직업환경적 위험을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항공승무원은 우주 전리 방사사선과 야간교대근무 환경에 노출되는 대표적인 직업군으로 일반인구집단 대비 유방암의 발병 위험이 높다고 몇몇 역학연구에서는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항공승무원의 유방암 사례에서 암 발병과 관련된 직업적 노출요인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한 사례는 찾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질환발병의 업무관련성을 인정받은 항공승무원 종사자의 유방암 사례에서 질환 발병과 관련된 직업적 요인들의 노출 수준을 정량적인 평가하였다.
증례
41세의 여성 환자는 항공승무원 재직 중 정기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된 좌측 유방종괴를 주소로 병원에 내원하였다. 초음파 검사 및 조직생검 등의 검사결과 유방의 침습암종(조직 및 핵분화도 3기), 을 진단 받았다. 환자는 유방 보존술을 위한 선행화학요법 시행 중에 부작용이 발생하여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지 못하고 보존적 치료를 유지중이다. 환자는 1996년 1월 항공사에 입사하여, 20년 2개월간 항공승무원으로 종사하였다. 총 비행기 탑승 이력 중 94.9%는 국제선에 탑승하였고 총 비행시간의 26.2%는 야간 비행으로 한 달에 네 번 이상 야간 비행업무를 수행하였다. 컴퓨터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CARI-6M을 이용하여 추정한 근로자의 우주 방사선 누적노출 추정량은 78.81 mSv였다. 유방암에 대한 개인적 유발 요인 및 가족력은 없었다. 역학조사평가위원회는 이 여성 승무원에서 발생한 유방암은 20년 2개월 간의 야간교대근무와 78.81 mSv의 우주 방사선 노출을 근거로 업무관련성이 상당하다고 평가하였다.
고찰
이번 사례는 항공 승무원 집단에서의 높은 유방암 발병률은 야간교대근무와 함께 기체 탑승 중 우주 전리방사선의 복합적 노출에 의해 기인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항공 승무원 집단에서의 야간교대근무와 우주 전리방사선 복합노출에 따른 건강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더많은 노출평가 사례 및 집단 역학조사를 통한 비행일정 관리기준의 근거마련이 필요하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Influence of occupational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gynecologic pathology in flight attendants in civil aviation
    Nailya I. Nasyrova, Artem Y. Yurovskiy, Aleksei V. Overko, Lyudmila A. Ozolinya
    V.F.Snegirev Archives of Obstetrics and Gynecology.2024; 11(2): 137.     CrossRef
  • 67 View
  • 0 Download
  • 1 Crossref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