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Author index

Page Path
HOME > Browse articles > Author index
Search
Soonsu Shin 2 Articles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display terminal usage at work and symptoms related to computer vision syndrome
Soonsu Shin, Eun Hye Yang, Hyo Choon Lee, Seong Ho Moon, Jae-Hong Ryoo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1.   Published online January 9,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1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PubReaderePub
Background

Although it is well known that the usage of visual display terminal (VDT) at the workplace causes computer vision syndrome (CVS), previous studies mainly focused on computer use and the health of white-collar workers. In this study, w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age of VDT including various devices, and symptoms related to CVS in a large population including pink-collar workers and blue-collar workers.

Methods

21,304 wage workers over the age of 20 years were analyzed from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VDT use at work and symptoms related to CVS among wage workers,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were calculated by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Results

In the group with the highest VDT usage at work, the OR of headache/eyestrain was 2.16 (95% CI: 1.86–2.52). The OR of suspected CVS patien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highest group of usage of VDT at work (OR: 1.69; 95% CI, 1.39–2.06). Compare with the reference group, the OR for headache/eyestrain in the highest group of VDT usage was 2.81 (95% CI: 2.13–3.70) in white-collar workers, 1.78 (95% CI: 1.32–2.40) in pink-collar workers, and 1.59 (95% CI: 1.18–2.15) in blue-collar workers.

Conclusions

We observed a relationship in which the use of VDT in the workplace increases the risk of headache/eyestrain regardless of occupational classification. Our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aying attention to the health of VDT workers and making plans to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영상표시단말기 작업과 컴퓨터 시각 증후군의 증상간의 관계
목적
다양한 산업과 직군에서 컴퓨터만이 아니라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영상표시단말기(Video display terminal)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영상표시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흔히 눈의 긴장, 두통, 상지 통증 등의 증상을 겪으며 이러한 증상들의 집합은 컴퓨터 시각 증후군(Computer vision syndrome)이라고 정의되어 왔다. 컴퓨터 시각 증후군에 대한 이전 연구들은 특정 직업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또한, 지금까지 컴퓨터 이외의 다른 기기들을 포함하여 컴퓨터 시각증후군에 대해 조사한 연구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제6차 근로환경조사를 통하여 작업 중 다양한 영상표시단말기의 사용과 컴퓨터 시각 증후군의 증상들의 관계에 대해 연구해보았다. 인구집단을 화이트칼라 근로자, 핑크칼라 근로자, 블루칼라 근로자로 나누어서 분석하여 영상표시단말기 사용이 근로자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방법
이번 연구에서는 6차 근로환경조사에 참여한 인원 중 20세 이상의 임금 근로자 21,304명을 연구 참여자로 포함시켰다. 이들의 작업 중 영상표시단말기 사용을 적음, 보통, 많음 세 군으로 나누어 독립변수로 사용하였고, 지난 12개월 동안 두통/눈 긴장이 있는지, 상지의 통증이 있는지, 혹은 둘 다 있는 경우 컴퓨터 시각 증후군 의심환자로 정의하여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 으로 고려하였다.
결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영상표시 단말기 사용이 많았던 군에서 적었던 군 보다 두통/눈 긴장의 오즈비(Odds ratio)가 2.16 (95% 신뢰구간: 1.86-2.52)로 높게 나타났다. 컴퓨터 시각증후군 의심환자는 영상표시 단말기 사용이 많았던 군에서 적었던 군과 비교해 오즈비가 1.69 (95% 신뢰구간: 1.39-2.06)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기준군과 비교하여 영상표시단말기의 사용이 많았던 군의 두통/눈 긴장의 오즈비는 화이트칼라 근로자에서 2.81 (95% 신뢰구간: 2.13–3.70), 핑크칼라 근로자에서 1.78 (95% 신뢰구간: 1.32–2.40) 및 블루칼라 근로자에서 1.59 (95% 신뢰구간: 1.18–2.15)이었다.
결론
영상표시단말기의 사용은 근로자들에게서 두통/눈긴장의 위험을 높이며, 컴퓨터 시각 증후군 의심환자의 위험을 높였다. 화이트칼라 근로자뿐만 아니라 핑크칼라 근로자, 블루칼라 근로자에서도 영상표시단말기의 사용이 많은 군에서 두통/눈긴장의 위험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영상표시단말기 취급근로자들의 건강에 주의를 기울여야함을 시사한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Evaluation of PVD exposure and its influence on visual fatigue in the administrative staff of a public hospital in Riobamba - Ecuador in 2023
    Abigail Torres, Santiago Salazar
    Salud, Ciencia y Tecnología.2024; 4: 1049.     CrossRef
  • Effects of Low-Intensity Wearable Ultrasound Technology on Pain, Muscle Tone, and Body Temperature in Women: Randomized Control Trials
    SungYeon Oh, Jaeho Yu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2024; 36(3): 85.     CrossRef
  • Association between receiving work communications outside of work hours via telecommunication devices and work-related headaches and eyestrain: a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Yoon-Soo Jang, Jae-Han Lee, Na-Rae Lee, Dong-Woo Kim, June-Hee Lee, Kyung-Jae Lee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2023;[Epub]     CrossRef
  • 86 View
  • 0 Download
  • 1 Web of Science
  • 3 Crossref
Close layer
Correlation of commute time with the risk of subjective mental health problems: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Hyo Choon Lee, Eun Hye Yang, Soonsu Shin, Seoung Ho Moon, Nan Song, Jae-Hong Ryoo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9.   Published online May 11,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9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Studies conducted so far on the link between commute time and mental health among Koreans remain insufficient.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e time and subjective mental health using the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KWCS).

Methods

Self-reported commute time was divided into four groups: ≤ 30 (group 1), 30–60 (group 2), 60–120 (group 3), and > 120 minutes (group 4). Subjective depression was defined as a score of 50 points or less on the WHO-5 well-being index. Subjective anxiety and fatigue were defined as answering ‘yes’ to the questionnaire on whether they had experienced it over the past year. The analysis of variance, t-test, and χ2 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according to commute time,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according to commute time were calculated using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adjusted for sex, age, monthly income, occupation, company size, weekly working hours, and shift work status.

Results

Long commute times showed increased ORs and graded increasing trends for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The ORs for depression in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2 (1.06 [1.01–1.11]), group 3 (1.23 [1.13–1.33]), and group 4 (1.31 [1.09–1.57]) compared to group 1 (reference). The ORs for anxiety in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2 (1.17 [1.06–1.29]), group 3 (1.43 [1.23–1.65]) and group 4 (1.89 [1.42–2.53]). The ORs for fatigue in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2 (1.09 [1.04–1.15]), group 3 (1.32 [1.21–1.43]), and group 4 (1.51 [1.25–1.82]).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at the risk of depression, anxiety, and fatigue increases with commute time.

통근 시간과 주관적 정신건강문제 위험의 상관관계 : 제6차 한국근로환경조사
목적
한국인들의 통근 시간과 정신 건강의 관계에 대해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6차 한국근로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통근 시간과 주관적 정신건강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자가 보고된 통근 시간은 30분 이하(1군), 30분-60분(2군), 60분-120분(3군), 120분 초과(4군)의 4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주관적 우울은 WHO-5 웰빙 지수 50점 이하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주관적 불안과 피로는 지난 1년간 이러한 증상을 경험한 적이 있는지에 대한 설문지에 '그렇다'고 대답한 경우로 정의하였다. 분산분석, T-검정 및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여 출퇴근 시간, 우울, 불안, 피로에 따른 연구 참여자들의 특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성별, 연령, 월 소득, 직업, 회사 규모, 주당 근로 시간, 교대근무 상태를 보정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통근 시간에 따른 우울, 불안, 피로에 대한 오즈비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결과
긴 통근 시간은 우울, 불안, 피로에 대한 오즈비 증가 및 점진적인 상승 추세를 보여주었다. 우울에 대한 오즈비는 2군(1.06[1.01-1.11]), 3군(1.23[1.13-1.33])과 4군(1.31[1.09-1.57])에서 1군(참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불안에 대한 오즈비는 2군(1.17[1.06-1.29]), 3군(1.43[1.23-1.65])과 4군(1.89[1.42-2.53])에서 유의하게 증가했다. 피로에 대한 오즈비는 2군(1.09[1.04-1.15]), 3군(1.32[1.21-1.43])과 4군(1.51[1.25-1.82])에서 유의하게 증가했다.
결론
본 연구는 출퇴근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우울증, 불안, 피로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 95 View
  • 1 Download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