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Search

Page Path
HOME > Search
1 "Sohyeon Choi"
Filter
Filter
Article category
Keywords
Publication year
Authors
Original Article
Distribution of Korean safety and health professionals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Jeongim Park, Sohyeon Choi, Yeji Sung, Jinjoo Chung, Sangjun Choi
Ann Occup Environ Med 2022;34:e12.   Published online June 9, 2022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2.34.e12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Gender equality in the workplace remains a challeng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gender gap of human resources in the field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SH) in Korea.

Methods

Several national statistical data that can confirm the gender distribution of personnel in the OSH sector were reviewed. The gender distribution of industrial technical manpower statistics, professional certificate holders in the OSH field, and the status of the appointment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by industry was analyzed.

Results

The distribution of professionals in the OSH sector in Korea had a large gender gap with a small number of women.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women in the safety field was lower than that in the health field. In the younger age group, while the proportion of women is increasing, the gender gap tends to decrease.

Conclusions

Few data are available to understand the gender-related aspects of OSH professions. Nevertheless, our results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nitiating a discussion on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gender-sensitive culture and policies in the OSH sector.

성평등의 관점에서 본 한국 안전보건 전문인력 분포 특성
목적
이 연구는 한국의 산업안전보건 분야 인적 자원의 성별 격차를 조사함으로써 양성 평등의 관점에서 안전보건 인력의 분포 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내 가용한 안전보건 인력에 대한 성별 분포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여 성별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산업기술인력 통계, 안전보건 분야 국가 자격증 취득자 분포 및 업종별 안전보건관리자 선임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국내 안전보건 분야 전문인력 분포는 2019년 산업기술인력 통계 분석 결과 여성이 4.5% 밖에 되지 않아 성별 차이가 컸다. 관리자 직급의 경우 보건의료 서비스 분야가 23.8%로 여성 비율이 가장 높았고, 나머지 직군에서는 4% 미만으로 성별 차이가 컸다. 보건 분야에 비해 안전 분야의 여성비율이 낮았으며, 30세 이하 젊은 연령층에서는 여성 비율이 증가하며 성별 격차가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국내 안전보건 분야 성별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 자체가 매우 적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 결과 안전보건 분야 전문인력의 여성 비율이 매우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안전보건 분야 인력에 대한 성별 격차를 줄이고, 성별 특성을 고려한 안전보건정책 수립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기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 156 View
  • 0 Download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