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Search

Page Path
HOME > Search
2 "Seonghyeon Kwon"
Filter
Filter
Article category
Keywords
Publication year
Authors
Original Article
The impact of alcohol consumption on hearing loss in male workers with a focus on alcohol flushing reaction: the Kangbuk Samsung Cohort Study
Jaehong Lee, Youshik Jeong, Jihoon Kim, Seonghyeon Kwon, Eunhye Seo, Jinsook Jeong, Woncheol Lee
Ann Occup Environ Med 2024;36:e1.   Published online January 22, 2024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4.36.e1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PubReaderePub
Background

Despite hearing loss being a prevalent chronic condition, estimated to nearly 20% of the global population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specific association with individual lifestyle factors, particularly alcohol consumption, remains unclear. In South Korea, approximately 80% of the population engages in alcohol consumption, with a notably high prevalence among males, indicating a high-risk drinking patter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correlation between alcohol consumption and hearing loss in male workers, as well as to analyze additional variables such as alcohol flushing reaction, with the intention of improving worker health.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12 to December 2019, targeting 114,114 participants who visited Kangbuk Samsung Hospital Total Healthcare Cente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ure-tone audiometry tests and alcohol-related questionnaire,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x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previous studies indicating a potential protective effect of light drinking on hearing loss, this group was designated as the reference. Additionally, stratified analyse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presence of alcohol flushing reaction and different working hours.

Results

The hazard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for hearing loss was higher in the heavy drinking group (1.23 [1.11–1.37]) compared to the moderate drinking group (1.09 [0.98–1.20]). Stratified analyses revealed a significantly elevated the hazard ratio of hearing loss in groups with alcohol flushing reaction compared to those without this factor.

Conclusions

Our study demonstrated that moderate or heavy alcohol consumption in male workers can increase the risk of hearing loss, particularly in those with alcohol flushing react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alcohol-related factors concerning hearing health among male workers.

알코올 안면홍조 중심으로 살펴본 남성 근로자에서 음주습관이 청력손실에 미치는 영향: 강북삼성 코호트연구
목적
청력손실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인구 20% 가까이로 그 유병률을 추정할 만큼 흔한 만성질환임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생활습관 요인, 특히 음주에 따른 연관성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진 바 없다.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음주 인구는 80%에 육박하며 남성의 고위험 음주율이 특징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우리는 청력손실과 관련된 근로자 건강 증진을 도모하고자 남성 근로자에서 음주습관 및 청력손실 간 연관성 평가 및 알코올 안면홍조 추가 변수 분석을 수행하였다.
방법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2019년 12월 사이 강북삼성병원 종합건강검진센터에 방문한 114,114명의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순음청력검사 및 음주 설문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통계 분석은 Cox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과거 연구들에서 가벼운 음주가 오히려 청력손실에 보호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해당 그룹을 참조(reference)로 지정하였다. 추가적으로 알코올 안면홍조 여부에 따른 층화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청력손실의 위험비(95% 신뢰구간)는 중간 음주 그룹 1.09(0.98-1.20)에 비해 대량 음주 그룹이 1.23(1.11-1.37)로 더 높았다. 층화분석에서는 알코올 안면홍조가 있는 음주 그룹에서의 청력손실 위험비가 그렇지 않은 음주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우리는 연구를 통해 남성 근로자들에서 중간 또는 대량 음주는 청력손실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고, 특히 알코올 안면홍조가 있는 남성 근로자들은 그 위험도가 더 증가함을 밝혀낼 수 있었다.
  • 433 View
  • 87 Download
Close layer
Original Articl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the risk of hypothyroidism in adult male workers in Korea: a cohort study
Seonghyeon Kwon, Yesung Lee, Eunhye Seo, Daehoon Kim, Jaehong Lee, Youshik Jeong, Jihoon Kim, Jinsook Jeong, Woncheol Lee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41.   Published online October 19,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41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PubReaderePub
Background

Shift work has been reported to have several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body. However, a small number of studies have evalu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adverse effects on the thyroid. In our longitudinal study, we examined the causal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the risk of hypothyroidism.

Methods

A Kangbuk Samsung Cohort Study was conducted on 112,648 men without thyroid disease at baseline who were followed up at least once between 2012 and 2019. Shift work status and shift schedule types were categorized using standardized questionnaires. Hypothyroidism was defined using the reference ranges of serum thyroid-stimulating hormones and free thyroxine levels. Hazard ratios (H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incident hypothyroidism were estimated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analyses with the daytime work group as the reference.

Results

During the 501,237 person-years of follow-up, there were 6,306 incident cases of hypothyroidism (incidence density, 1.26 per 100 person-years). The multivariable-adjusted HR of incident hypothyroidism for the shift work total group that included all shifts compared with the daytime work group was 1.27 (95% CI: 1.15–1.40). For the fixed evening, fixed night, rotating shift, and other shift workers, the multivariable-adjusted HRs (95% CI) were 1.11 (0.76–1.61), 2.18 (1.20–3.93), 1.39 (1.23–1.56), and 1.00 (0.82–1.22), respectively. In subgroup analyses by age, the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hypothyroidism was more pronounced in younger participants (< 40 years; HR: 1.31; 95% CI: 1.16–1.47).

Conclusions

Our large-scale cohort study showed an association between shift work and the incidence of hypothyroidism, especially in younger workers with night shifts.

한국 성인 남성 근로자에서 교대근무와 갑상선 기능 저하증 위험의 연관성: 코호트 연구
목적
교대 근무는 인체에 여러 가지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소수의 연구만이 교대 근무와 갑상선에 대한 이상 반응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이번 종단 연구에서는, 교대 근무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위험 간의 인과 관계를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본 강북삼성 코호트 연구는 2012년과 2019년 사이에 최소 한 번 이상 추적 검사를 받았고, 연구 시작 시점에서 갑상선 질환이 없는 112,648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표준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교대근무 현황 및 교대근무 유형을 분류하였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혈청 갑상선 자극 호르몬과 유리 티록신 수치의 참고치를 기준으로 정의되었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에 대한 위험비(HR)와 95% 신뢰구간(CI)은 주간 근무 그룹을 기준으로 콕스 비례위험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추정되었다.
결과
501,237인년의 추적 조사 기간 중 6,306건의 갑상선 기능 저하증 케이스가 발생하였다 (발생밀도, 100인년당 1.26). 주간 근무 그룹과 비교하여 모든 교대 근무 유형을 포함한 그룹에 대한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다변량 조정 위험비는 1.27 (95% 신뢰구간, 1.15–1.40)이었다. 고정 저녁, 고정 야간, 윤번 교대 및 기타 교대 근무 그룹의 경우 다변량 조정 위험비 (95% 신뢰구간)는 각각 1.11 (0.76–1.61), 2.18 (1.20–3.93), 1.39 (1.23–1.56) 및 1.00 (0.82–1.22)이었다. 연령에 따른 하위집단 분석에서 교대근무와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연관성은 젊은 참가자들에게서 더 두드러졌다 (<40세; 위험비, 1.31; 95% 신뢰구간, 1.16–1.47).
결론
본 대규모 코호트 연구를 통해 특히 야간 근무를 하는 젊은 근로자들에서, 교대 근무와 갑상선 기능 저하증 발생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250 View
  • 7 Download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