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Search

Page Path
HOME > Search
3 "Inho Lee"
Filter
Filter
Article category
Keywords
Publication year
Authors
Original Articl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in male steel industry workers: a cross-sectional study
Hyun-Kyo Lee, Inho Lee, Jisuk Yun, Yong-Jin Lee, Eun-Chul Jang, Young-Sun Min, Soon-Chan Kwon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12.   Published online June 2,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12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impaired fasting glycemia (IFG) of male workers in a manufacturing industr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5,886 male workers in a manufacturing industry who participated in the medical examination from June 19 to August 14, 2020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ift work, high blood pressure, dyslipidemia, and job stress were included. Job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KOSS) consisting of 8 items and 43 questions.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the IFG association with job stress.

Results

Among the various factors that can cause job stress, only high job demand was associated with a risk of IFG (odds ratio, 1.43; 95% confidence interval, 1.13–1.82) especially in non-shift worker. For all other factor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obtained.

Conclusions

In this study of male workers engaged in the Korean steel manufacturing industry, the 'job demand' item among job stress of non-shift worker was related to IFG.

철강 공장에 근무하는 남성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공복혈당장애와의 관계: 단면연구
목적
제2형 당뇨와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다룬 여러 연구가 있었으나 공복혈당장애와의 관계를 조사한 연구 결과는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단일 철강 사업장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공복혈당장애의 관련성을 확인하되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각각 항목과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20년 6월 19일부터 8월 14일까지 건강검진에 참여한 제조업 남성 근로자 5,886명을 대상으로 자체 보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변수로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교대근무, 재직년수,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직무스트레스 점수가 포함되었다. 직무스트레스는 8개 항목과 43개 질문으로 구성된 한국직업스트레스척도(KOSS)를 이용하여 측정되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직무 스트레스와 IFG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직무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 중, 비 야간작업자의 높은 직무요구도만이 IFG(OR 1.43, 95% CI 1.13-1.82)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다른 모든 요인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았다.
결론
철강 제조업에 종사하는 남성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 직무 스트레스 중 ‘직무 요구’ 항목은 비 야간작업자의 공복혈당장애와 관련이 있었다. 향후 다양한 직업군을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237 View
  • 1 Download
Close layer
Original Article
The health effects of low blood lead level in oxidative stress as a marker, serum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level, in male steelworkers
Su-Yeon Lee, Yong-Jin Lee, Young-Sun Min, Eun-Chul Jang, Soon-Chan Kwon, Inho Lee
Ann Occup Environ Med 2022;34:e34.   Published online November 2, 2022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2.34.e34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lead exposure and serum gamma-glutamyl transpeptidase (γGT) levels as an oxidative stress marker in male steelwork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annual health examination of workers in 2020. A total of 1,654 steelworkers were selected, and the variables for adjustment included the workers’ general characteristics, lifestyle,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blood lead level (BLL) and serum γGT level was investigated by multiple linear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he BLL and serum γGT values that were transformed into natural logarithms were used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the tertile of BLL was used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geometric mean of the participants’ BLLs and serum γGT level was 1.36 μg/dL and 27.72 IU/L, respectively. Their BLLs differed depending on age, body mass index (BMI), smoking status, drinking status, shift work, and working period, while their serum γGT levels differed depending on age, BMI, smoking status, drinking status, physical activity, and working period.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difference in models 1, 2, and 3 was significant, obtaining 0.326, 0.176, and 0.172 (all: p < 0.001), respectively.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tratified according to drinking status, BMI, and age, BLL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rum γGT levels. Regarding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dds ratio of the third BLL tertile in models 1, 2, and 3 (for having an elevated serum γGT level within the first tertile reference) was 2.74, 1.83, and 1.81, respectively.

Conclusions

BLL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rum γGT levels in male steelworkers even at low lead concentrations (< 5 μg/dL).

제철소 남성근로자들의 저농도 납노출이 산화스트레스 지표인 혈청 감마지티에 미치는 건강영향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개 제철소에 근무하는 남성 근로자들의 납 노출 수준과 산화스트레스 지표로서의 혈청 감마지티와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20년 시행된 근로자 건강검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총 1,654명의 남성 근로자가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일반적 특성, 생활양식 및 직업적 특성을 나타내는 변수를 설정하여 보정하였으며, 혈중납수준과 혈청 감마지티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선형회귀분석 및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는 자연로그로 변환된 혈중납 및 혈청 감마지티값을,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는 혈중납 3분위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의 혈중납 및 혈청 감마지티의 기하평균은 각각 1.36 μg/dL, 27.72 IU/L 이었으며, 혈중납수준은 연령, 체질량지수, 흡연, 음주, 교대근무, 근무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혈청 감마지티는 연령, 체질량지수, 흡연, 음주, 신체활동, 근무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는 모형 1,2,3 에서 혈중납수준과 혈청감마티지의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여주었으며 (Model 1, β : 0.326, p < 0.001 ;Model 2, β: 0.176, p< 0.001;Model 3, β: 0.172 p< 0.001), 음주상태, 연령, 체질량지수, 음주 및 흡연 통합변수로 층화하여 분석하였을 때에도 혈중납수준과 혈청감마지티의 연관성은 유의하였다. 로지스틱회귀분석은 혈중납 3분위수와 혈청 감마지티 상승위험의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Model 1, OR: 2.74, 95% CI: 1.764.28 ;Model 2, OR: 1.83, 95%CI:1.132.95 ; Model 3, OR 1.81, 95%CI:1.122.92)
결론
일개 제철소 남성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본 연구는 혈중납 5μg/dL 이하의 저농도 노출수준에서도 혈중납 수준과 혈청 감마지티 수치가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The Association Between Blood Lead Levels and Coronary Artery Calcium Score Determined by Using Coronary Computed Tomography Angiography
    Eunyoung Park, Suwhan Kim, Seunghyeon Cho, Hyeonjun Kim, Inho Jung, Jai-Dong Moon, Won-Ju Park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2023;[Epub]     CrossRef
  • 160 View
  • 1 Download
  • 2 Web of Science
  • 1 Crossref
Close layer
Original Article
The acclimatization of Haenyeo to a cold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evaluated by orexin and irisin levels
Inho Lee, Yong-Jin Lee, Eun-Chul Jang, Soon-Chan Kwon, Young-Sun Min, Jisuk Yun, Taehwan Park, Hye-Jin Lee, Eonah Choo, Jeong-Beom Lee
Ann Occup Environ Med 2022;34:e28.   Published online October 13, 2022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2.34.e28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Haenyeo is a woman who has the job of collecting seafood in the Jeju Sea at an average temperature of 13°C–14°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ld acclimatization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of Haenyeo through biomarkers such as orexin and irisin related to heat generation in the body.

Methods

Twenty-one Haenyeo and 25 people with similar age, body type, and body mass index were selected as the control group (Control G). In the cold exposure experiment, a climate chamber was set to 5°C and both feet were immersed in a 15°C water tank for 30 minutes. Tympanic temperature (Tty) and skin temperature (Tsk) were measured, and the mean body temperature (mTb) was calculated.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before and immediately after the examination. Orexin and irisin levels were analyzed.

Results

Orexin levels were elevated after cold stimulation from 12.17 ± 4.44 to 12.95 ± 4.53 ng/mL (Haenyeo group [Haenyeo G], p < 0.01) and 10.37 ± 3.84 to 11.25 ± 4.02 ng/mL (Control G, p < 0.001). Irisin levels were elevated after cold stimulation from 4.83 ± 2.28 to 5.36 ± 2.23 ng/mL (Haenyeo G, p < 0.001) and 3.73 ± 1.59 to 4.18 ± 2.04 ng/mL (Control G, p < 0.001). The difference between Haenyeo G and Control G values in orexin and irisin appears not only in pre-exposure but also in post-exposure (p < 0.05).

Conclusions

Our experimental results suggest that Haenyeo G were relatively superior in cold tolerance to Control G under cold exposure conditions. Haenyeo’s cold acclimatization is due to the basic differences in pyrogens regarding body temperature control such as orexin and irisin. This means that Haenyeo are advantageous for cold survival.

해녀의 혈중 오렉신 및 이리신 수치를 통한 한랭환경 적응 및 직업적 특성에 관한 연구
목적
해녀는 산소공급장치 없이 바다에서 해산물을 채취하는 직업을 가진 여성으로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제주 해녀문화'로 등재됐다. 해녀 여성들은 제주 바다에서 평균 13~14°C의 온도에서 일하며 오랜 세월 동안 추운 환경 적응과 기후 적응의 환경 생리 반응을 발달시켰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체내 발열과 관련된 오렉신, 이리신 등의 생체지표를 통해 한랭적응시 체온유지에 사용되는 해녀의 한랭적응 및 직업적 특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해녀 21명 및 해녀와 유사한 연령과 체형, 체질량지수를 가진 25명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한랭 부하 실험에서는 기후 챔버를 5°C로 설정하고 양발을 15°C의 물탱크에 30분간 담갔다. 고막 온도(Tty)와 피부 온도(Tsk)를 측정하고 평균 체온(mTb)을 계산하였다. 실험 전후로 혈액을 채취해 오렉신과 이리신 수치를 분석하였다.
결과
한랭 부하 실험 후 오렉신 수치는 해녀군은 12.17 ± 4.44 에서 12.95 ± 4.53 ng/mL (P < 0.01)으로, 대조군은 10.37 ± 3.84에서 11.25 ± 4.02 ng/mL(P < 0.001)으로 상승하였다. 이리신 수치도 해녀군은 4.83 ± 2.28에서 5.36 ± 2.23 ng/mL(P < 0.001)으로, 대조군은 3.73 ± 1.59에서 4.18 ± 2.04 ng/mL(P < 0.001)으로 상승하였다. 또한 실험 전 오렉신 및 이리신 수치가 대조군에 비해 해녀군에서 높았으며, 실험 후 대조군과 해녀군을 비교하였을 때에도 해녀군이 대조군에 비해 오렉신 및 이리신 수치가 유의미하게 높았음을 알 수 있다. (P < 0.05)
결론
저온 노출 조건에서 직업력 50년 이상인 해녀가 대조군에 비해 추위 내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해녀의 한랭적응은 오렉신 및 이리신 등 발열에 관여하는 바이오마커의 기본적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이라 설명된다. 따라서 해녀는 추위 생존에 있어 유리한 지위에 있다 할 것이다.
  • 157 View
  • 1 Download
  • 1 Web of Science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