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Search

Page Path
HOME > Search
1 "Heejoo Ko"
Filter
Filter
Article category
Keywords
Publication year
Authors
Funded articles
Data Profile
Data profile: Korean Work, Sleep, and Health Study (KWSHS)
Seong-Sik Cho, Jeehee Min, Heejoo Ko, Mo-Yeol Kang
Ann Occup Environ Med 2025;37:e3.   Published online February 19, 2025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5.37.e3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The Korean Work, Sleep, and Health Study (KWSHS) was launched in 2022 as a longitudinal panel study to examine the interactions between work conditions, sleep health, and labour market performance among the Korean workforce. Baseline data were collected from 5,517 participants aged 19 to 70, encompassing diverse occupations. Follow-up surveys occur biannually, accommodating seasonal variations in sleep and health dynamics. To ensure stability, refreshment samples were integrated in later waves, maintaining a cohort size of 5,783 participants in wave 5. Key data include socio-demographics, employment characteristics, sleep patterns, health outcomes, and workplace performance. Early findings highlight critical associations, such as the adverse effects of occupational physical activity on productivity, the impact of emotional labour on health-related productivity loss, and the significance of sleep disruptions on mental health. The cohort’s design enables detailed analyses of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trends, offering insights into how changing work environments influence health and productivity. The KWSHS could serve as a vital resource for evidence-based interventions aimed at improving occupational health and productivity in Korea's evolving labour landscape. Data access is available through the study’s principal investigator upon request.
한국 직업, 수면 및 건강 연구(KWSHS)
한국 직업, 수면 및 건강 연구(KWSHS)는 한국 노동자의 근로 조건, 수면 건강, 노동 시장 성과 간 상호작용을 조사하기 위해 2022년에 시작된 종단적 패널 연구이다. 기초 자료는 다양한 직업군을 포함하여 19세에서 70세까지의 5,517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후속 설문조사는 수면 및 건강 역학의 계절적 변동성을 고려하여 2년마다 실시하며, 코호트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후속 조사에서는 보충 표본을 추가하여 5차 웨이브에서는 총 5,783명의 코호트 규모를 유지하였다. 주요 자료에는 사회인구학적 정보, 고용 특성, 수면 패턴, 건강 결과 및 직장 성과 등이 포함된다. 초기 연구 결과는 직업적 신체활동이 생산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감정 노동이 건강 관련 생산성 손실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수면 장애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중요성을 포함한 주요 연관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코호트의 설계는 종단적 및 횡단적 추세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하여 변화하는 근로 환경이 건강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KWSHS는 한국의 변화하는 노동 환경 속에서 직업 건강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근거 기반 개입을 위한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다. 데이터 접근은 연구 책임자에게 요청을 통해 가능하다.
  • 1,058 View
  • 81 Download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