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Fishing is a physically demanding occupation with a high risk of musculoskeletal disabilities (MSDs).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ergonomic risk factors,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sex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MSDs among fishers. This study aimed to assess whether female fishers experience a higher prevalence of MSDs than male fishers and to examine whether this difference persists after adjusting for socioeconomic and occupational factors.
Methods We analyzed cross-sectional data from 898 Korean fishers (513 men and 385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2021–2022 Fisher Health Survey. MSDs in the upper extremities, lower back, and knees were defined as scores in the top 25% of the Quick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QuickDASH), Oswestry Disability Index, and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Arthritis Index Short Form (WOMAC-SF), respectively. Modified Poisson regression was used to calculate the prevalence ratios (PRs) by sex, with stepwise adjustments for age, socioeconomic factors, and occupational factors.
Results Female fishers had significantly higher MSD risk than male fishers across all body regions (fully adjusted PRs: upper extremity, 1.59; lower back, 1.63; knee, 1.44). Sex disparities were most pronounced among those under 60 years of age and remained significant even in older age groups.
Conclusions The elevated MSD risk among female fishers persisted despite adjusting for conventional risk factors, suggesting the influence of additional factors such as biological susceptibility, domestic labor, and gendered health reporting. Therefore, MSD prevention strategies should include sex-sensitive multidimensional approaches beyond ergonomic interventions.
한국 어업인에서의 근골격계 장애의 성별 차이: 단면 연구 배경
어업은 육체적으로 힘든 직업으로 근골격계 장애의 위험이 높습니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인간공학적 위험요인에 집중해 왔으나, 어업인의 근골격계 장애 유병률에 대한 성별 차이는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아 왔습니다. 본 연구는 여성 어업인이 남성 어업인보다 근골격계 장애 유병률이 더 높은지를 평가하고, 이러한 차이가 사회경제적 및 직업적 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지속되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방법
2021–2022년 어업인 건강조사에 참여한 한국 어업인 898명(남성 513명, 여성 385명)의 단면 자료를 분석하였습니다. 상지, 요추, 무릎의 근골격계 장애는 각각 QuickDASH, ODI, WOMAC-SF 점수 상위 25%에 해당할 경우로 정의하였습니다. 수정된 포아송 회귀(modified Poisson regression)를 사용하여 성별에 따른 유병비를 산출하였으며, 연령, 사회경제적 요인, 직업적 요인 순으로 단계적으로 보정하였습니다. 결과
여성 어업인은 남성 어업인보다 모든 신체 부위에서 근골격계 장애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았습니다(보정 유병비: 상지 1.59, 요추 1.63, 무릎 1.44). 성별 격차는 60세 미만 집단에서 가장 두드러졌으며, 고령 집단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지속되었습니다. 결론
여성 어업인의 높은 근골격계 장애의 위험은 잘 알려진 위험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유지되었으며, 이는 생물학적 취약성, 가사노동, 성별에 따른 건강보고 차이 등의 추가적인 요인이 작용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따라서 근골격계 장애 예방 전략은 인간공학적 개입을 넘어 성 감수성을 가져야 하며, 다차원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