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Author index

Page Path
HOME > Browse articles > Author index
Search
Seonghyun Kwon 1 Article
Association between hearing loss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the Kangbuk Samsung Cohort Study
Jihoon Kim, Yesung Lee, Eunhye Seo, Daehoon Kim, Jaehong Lee, Youshik Jeong, Seonghyun Kwon, Jinsook Jeong, Woncheol Lee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38.   Published online September 11,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38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Hearing loss (HL) is linked to an elevat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s (CVDs). The pathogeneses of HL and CVD commonly involve inflammatory responses.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elevated levels of inflammatory biomarkers in subjects with HL, however, their findings did not demonstrat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ur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HL and increase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hsCRP) levels to determine how HL is associated with CVDs.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with workers aged over 18 years who underwent health check-ups at our institution between 2012 and 2018 (n = 566,507), followed by conducting a longitudinal study of workers aged > 18 who underwent health checkups at least twice at our institution between 2012 and 2018 (n = 173,794). The definition of HL was as an average threshold of ≥ 20 dB in pure-tone air conduction at 0.5, 1.0, and 2.0 kHz in both ears. The incidence of increased hsCRP levels throughout the follow-up period was defined as a level exceeding 3 mg/L. Logistic regression and generalized estimating equations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risk of increased hsCRP level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of HL in groups stratified by age.

Results

In the cross-sectional study, the multivariate-adjusted odds ratio (OR) was 1.1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2–1.34); the OR was 0.99 (95% CI: 0.80–1.22) in those under 40 and 1.28 (1.08–1.53) in those over 40. In the longitudinal study, the multivariable-adjusted OR was 1.05 (95% CI: 0.92–1.19); the OR was 1.10 (95% CI: 0.90–1.35) in those under 40 and 1.20 (1.01–1.43) in those over 40.

Conclusions

This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study identified an association between HL and increased hsCRP levels in workers aged over 40 years.

청력손실과 고감도 C-반응단백의 연관성
목적
청력손실은 심혈관질환 발생 및 사망률 증가와 관련 있다. 청력손실과 심혈관질환의 병인은 공통으로 염증반응을 포함한다. 몇몇 연구에서 청력손실 환자의 염증성 바이오마커 수치가 증가했음을 연구하였으나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단면연구 및 종단연구에서는 청력손실이 심혈관질환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청력손실과 염증성 바이오마커인 고감도 C-반응단백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방법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 기관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18세 이상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수행하였다 (n=566,507). 이후 2012년부터 2018년까지 우리 기관에서 건강검진을 2회 이상 받은 18세 이상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종단연구를 수행하였다 (n=173,794). 청력손실은 3분법에 의한 순음청력역치가 양측 모두 20 dB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추적관찰 동안 고감도 C-반응단백의 증가는 혈중 농도 3 mg/L 초과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청력손실 발생에 따른 고감도 C-반응단백 증가의 위험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일반화 추정방정식을 활용하였다. 또한 연령에 따라 계층화하여 추가적인 분석을 하였다.
결과
단면연구에서 최종참가자 204,091명 중 난청 유병률은 0.02% 이었다. 다변량 보정 교차비는 1.17 (95% 신뢰구간 1.02-1.34) 이었다. 40세 이하와 초과인 군에서는 각각 0.99 (0.80-1.22) 와 1.28 (1.08-1.53) 이었다. 종단연구에서 추적관찰 동안 고감도 C-반응단백 수치는 청력손실군 2,349 명 중 272 명, 비청력손실군 116,301명 중 11,049 명에서 증가하였다. 다변수 보정 교차비는 1.05 (95% 신뢰구간 0.92-1.19) 이었다. 40세 이하와 초과인 군에서는 각각 1.10 (0.90-1.35) 과 1.20 (1.01-1.43) 이었다.
결론
본 단면연구 및 종단연구에서는 40세 초과하는 근로자에서 청력손실과 고감도 C-반응단백의 증가에 유의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83 View
  • 0 Download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