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Author index

Page Path
HOME > Browse articles > Author index
Search
SeongCheol Yang 2 Articles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depression after adjusting for satisfaction with other life domains
SeongCheol Yang, Ji Hoon Kim, Minju Jung, Hwan-Cheol Kim, Jong-Han Leem, Shin-Goo Park
Ann Occup Environ Med 2024;36:e8.   Published online March 28, 2024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4.36.e8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Studies on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ve often been reported. However, no study has examined how job satisfaction impacts depression while considering satisfaction with other aspects of lif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depression after adjusting for satisfaction with other domains of life.

Methods

We used data from the 16th wave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A total of 3568 current employees without depression who completed a survey were included. Depression was measured using the abbreviated version of the CES-D scale. Various types of satisfaction, including job satisfaction, were measured using single-item questions and a 5-point Likert scale. The associ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depression after considering satisfaction with other life domains was analyzed using a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Crude models show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males (odds ratio [OR]: 7.90; 95% confidence interval [CI]: 4.11–15.23) and females (OR: 7.12; 95% CI: 4.40–11.50). When adjusted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related factors, and work-related factors, the association remained significant in males (OR: 6.20; 95% CI: 3.10–12.41) and females (OR: 6.28; 95% confidence interval (CI): 3.79–10.40). However, when satisfaction with other life domains was included, the association remained significant only in females (OR: 3.55; 95% CI: 1.93–6.50).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an associ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depression in Korean employees. However, when satisfaction with other life domains was considered, this association remained significant only in women. Regular screening of job satisfac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means of preventing and managing depression among female employees.

삶의 다른 영역의 만족도들을 보정한 후 일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목적
과거의 많은 연구들에서 일 만족도와 우울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삶의 다른 영역의 만족도들까지 고려하여 일 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현재까지 없었다. 이번 연구는 삶의 다른 영역의 만족도들을 보정하여 일 만족도와 우울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Korean Welfare Panel Study)의 16차 조사자료를 활용하였다. 우울증을 진단받은 적이 없고 설문을 완료한 총 3568명의 임금 근로자가 선정되었다. 우울은 축약형 CES-D를 이용하여 평가했으며, 직업 만족도를 포함한 여러 만족도들은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단일 문항으로 평가했다. 삶의 다른 영역의 만족도들에 대해 보정하여 직업 만족도와 우울간의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보정되지 않은 모형에서 우울에 대한 오즈비는 남성의 경우 일 만족 그룹에 비해 일 불만족 그룹에서 7.90 (95% CI: 4.11-15.23), 여성의 경우 7.12 (95% CI: 4.40-11.50)였다. 사회인구학적 요인, 건강 요인, 직업 관련 요인에 대해 보정했을 때도 남성에서 오즈비 6.20 (95% CI: 3.10-12.41), 여성에서 오즈비 6.28 (95% CI: 3.79-10.40)이었다. 그러나, 추가로 삶의 다른 영역의 만족도들에 대해 보정하여 분석했을 때는, 여성에서만 일 만족도와 우울 간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나타났다 (OR=3.55, 95% CI: 1.93-6.50).
결론
연구결과에 따르면, 삶의 다른 영역의 만족도들을 고려하여 분석했을 때 일 만족도와 우울 사이의 연관성은 여성에서만 유의미했다.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직장에서 여성 근로자들에 대해 정기적으로 직업 만족도를 확인하고 관리해야 할 것이다.
  • 109 View
  • 12 Download
Close layer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sickness absence from work
Minsun Kim, Jiho Kim, SeongCheol Yang, Dong-Wook Lee, Shin-Goo Park, Jong-Han Leem, Hwan-Cheol Kim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32.   Published online August 10,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32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worker fatigue and sickness absence, the association between fatigue and sickness absence is unclear in Korean work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orker fatigue on future sickness absence.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workers who received medical check-ups at a university hospital for two consecutive years (2014–2015). During check-ups in the first year, the Fatigue Severity Scale (FSS) was used to assess fatigue levels, and during check-ups in the second year, sickness absence was surveyed to determine whether they had been absent from work due to physical or mental illness during previous 12 months. The χ2 test was used to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sociodemographic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fatigue levels, and sickness absence. Odds ratios (ORs) were calculat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trolled for confounding factors.

Results

A total of 12,250 worke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396 (3.2%) workers experienced more than one day of sickness absence during the study period. Adjusted ORs for sickness absence were 3.35 (95% confidence interval [CI]: 2.64–4.28) in the moderate-fatigue group and 6.87 (95% CI: 4.93–9.57) in the high-fatigue group versus the low-fatigue group. For men in the moderate- and high-fatigue groups, adjusted ORs for sickness absence were 3.40 (95% CI: 2.58–4.48) and 8.94 (95% CI: 6.12–13.07), and for women in the moderate- and high-fatigue groups, adjusted ORs for sickness absence were 2.93 (95% CI: 1.68–5.10) and 3.71 (95% CI: 1.84–7.49), respectively.

Conclusions

Worker fatigue is associated with sickness absence during the following 12 months, and this association appears to be stronger for men than women. These results support the notion that sickness absence can be reduced by evaluating and managing work-related fatigue.

근로자의 피로와 질병 결근의 연관성
목적
근로자의 피로와 질병 결근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한국 근로자의 피로와 질병 결근의 연관성은 불분명합니다. 본 연구는 근로자의 피로가 미래의 질병 결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방법
본 연구는 2년 연속(2014년-2015년) 대학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습니다. 첫번째 2014년 건강검진에서는 피로 심각도 척도를 이용하여 피로도를 평가했고, 다음해인 2015년 건강검진에서는 같은 근로자를 대상으로 지난 12개월 간 신체적 질환 또는 정신적 질환으로 인한 결근한 적이 있는지를 조사했습니다. χ2 분석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직업적 특성, 피로도와 질병 결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습니다. 오즈비는 교란 요인들을 통제 후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측정되었습니다.
결과
연구 대상에는 총 12,250명의 근로자가 포함되었으며, 12개월 동안 396명(3.2%)의 근로자가 하루 이상의 질병 결근을 하였습니다. 질병 결근에 대한 조정된 오즈비는 낮은 피로 그룹에 비해 중간 피로 그룹에서 3.35 (95% CI: 2.64-4.28), 고피로 그룹에서 6.87 (95% CI: 4.93-9.57)였습니다. 남성의 질병 결근에 대한 조정된 오즈비는 중간 피로 그룹에서 3.40 (95% CI: 2.58-4.48), 고피로 그룹에서 8.94 (95% CI: 6.12-13.07)였으며, 여성의 질병 결근에 대한 조정된 오즈비는 중간 피로 그룹에서 2.93 (95% CI: 1.68-5.10), 고피로 그룹에서 3.71 (95% CI: 1.84-7.49)이었습니다.
결론
근로자의 피로는 이후 12개월 동안의 질병 결근과 관련이 있으며, 이 연관성은 여성보다 남성에게 더 강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결과는 업무 관련 피로를 평가하고 관리함으로써 질병 결근을 줄일 수 있다는 개념을 뒷받침합니다.
  • 89 View
  • 0 Download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