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Author index

Page Path
HOME > Browse articles > Author index
Search
Seong-Uk Baek 4 Articles
Occupation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DistilKoBERT: using the 5th and 6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s
Tae-Yeon Kim, Seong-Uk Baek, Myeong-Hun Lim, Byungyoon Yun, Domyung Paek, Kyung Ehi Zoh, Kanwoo Youn, Yun Keun Lee, Yangho Kim, Jungwon Kim, Eunsuk Choi, Mo-Yeol Kang, YoonHo Cho, Kyung-Eun Lee, Juho Sim, Juyeon Oh, Heejoo Park, Jian Lee, Jong-Uk Won, Yu-Min Lee, Jin-Ha Yoon
Ann Occup Environ Med 2024;36:e19.   Published online August 6, 2024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4.36.e19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PubReaderePub
Background

Accurate occupation classification is essential in various fields, including policy development and epidemiological studi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occupation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DistilKoBERT.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5th and 6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s conducted in 2017 and 2020, respectively. A total of 99,665 survey participants, who were nationally representative of Korean workers, were included. We used natural language responses regarding their job responsibilities and occupational codes based on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7th version, 3-digit codes). The dataset was randomly split into training and test datasets in a ratio of 7:3. The occupation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DistilKoBERT was fine-tuned using the training dataset, and the model was evaluated using the test dataset. The accuracy, precision, recall, and F1 score were calculated as evaluation metrics.

Results

The final model, which classified 28,996 survey participants in the test dataset into 142 occupational codes, exhibited an accuracy of 84.44%. For the evaluation metrics, the precision, recall, and F1 score of the model, calculated by weighting based on the sample size, were 0.83, 0.84, and 0.83, respectively. The model demonstrated high precision in the classification of service and sales workers yet exhibited low precision in the classification of managers. In addition, it displayed high precision in classifying occupations prominently represented in the training dataset.

Conclusions

This study developed an occupation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DistilKoBERT, which demonstrated reasonable performance. Despite further efforts to enhanc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this automated occupation classification model holds promise for advancing epidemiological studies in the field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DistilKOBERT를 기반으로 한 직업 분류 모델 개발: 제5차, 6차 한국근로실태조사를 이용하여
목적
정확한 직업분류는 정책 개발 및 역학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자연어처리모델인 DistilKoBERT를 기반으로 한 직업 분류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방법
본 연구는 2017년과 2020년에 실시된 제5차와 제6차 근로환경조사 (KWCS)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대한민국 근로자를 국가적으로 대표하는 총 99,665명의 참가자가 포함되었고, 직무 내용과 관련된 자연어 응답과 그에 맞는 대한민국 표준직업 분류코드(7차 개정, 3자리 코드)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데이터셋은 7:3의 비율로 훈련 및 테스트 데이터셋으로 무작위로 분할되었고, 사전 학습된 DistilKoBERT을 훈련 데이터셋을 통해 파인튜닝하여 모델을 학습시키고, 테스트 데이터셋을 사용하여 그 기능을 평가하였다. 정확도, 정밀도, 재현율 및 F1 점수가 평가 지표로 계산되었다.
결과
테스트 데이터셋의 28,996명의 참가자를 142개의 직업 코드로 분류한 최종 모델은 84.44%의 정확도를 보였다. 샘플 크기를 기준으로 가중치를 적용하여 계산한 모델의 정밀도, 재현율 및 F1 점수는 각각 0.83, 0.84 및 0.83 이었다. 최종 모델은 서비스, 판매 종사자 그룹에서 높은 정밀도를 보여주었지만 관리자 그룹에서는 낮은 정밀도를 보였다. 또한 훈련 데이터셋에서 표본의 수가 많았던 직업에서 대체로 높은 정밀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DistilKoBERT를 기반으로 합리적인 성능을 보이는 직업 분류 모델을 개발하였다. 분류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이 필요하지만, 자동화된 직업 분류 모델은 직업 안전 및 보건 분야의 유행병 연구를 발전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 기대된다.
  • 211 View
  • 17 Download
Close layer
Mental health symptoms among dependent contractors in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based on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Seong-Uk Baek, Sung-Shil Lim, Sehyun Yun, Won-Tae Lee, Min-Seok Kim, Jin-Ha Yoon, Jong-Uk Won
Ann Occup Environ Med 2022;34:e1.   Published online February 10, 2022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2.34.e1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PubReaderePub
Background

Recently, there has been a call to improve the holistic welfare of dependent contractors (DCs). Thus, our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Cs and mental health symptoms and how this relationship was modified by age, sex, and income status of workers.

Methods

A total of 27,980 workers from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are included in our study. The participants who reported having depression or anxiety over the last 12 months are defined those who had mental health symptoms. We performed exact matching for age group and sex, followed by 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with survey weights. Finally, stratified analyses by age, sex and income level were conducted.

Results

DCs were found to be at increased risk of depression/anxiety compared to other workers. The odds ratio (OR) is 1.52 (95% confidence interval [CI]: 1.06–2.17). In the stratified analyses, vulnerable groups were middle-aged (OR [95% CI]: 1.68 [1.10–2.54]), female (OR [95% CI]: 1.85 [1.20–2.84]), and low-income (OR [95% CI]: 3.18 [1.77–5.73]) workers.

Conclusions

Our study's results reinforce those of other studies that show that DCs are at greater risk of experiencing mental health issues than other workers and that and this risk is greater for middle-aged, female, and low-income work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ropriate policy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DCs.

한국의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정신건강증상: 제5차 한국근로실태조사에 근거한 단면 연구
목적
최근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법적 지위와 근로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의 연구 목표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와 정신 건강 증상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며,이 관계가 근로자의 연령, 성별 및 소득수준에 따라 구분된 층화 그룹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에는 제5차 한국 근로 환경 조사의 총 27,980명의 임금근로자가 포함되었다. 정신건강증상을 가진 근로자는 지난 12개월 이내 우울증 혹은 불안감으로 인한 건강장애를 경험했다고 대답한 근로자로 정의되었다. 참여 근로자를 연령 그룹과 성별에 따라 매칭하였으며, 설문 조사 가중치를 사용한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를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연령, 성별, 소득수준에 따라 그룹별로 층화분석이 추가적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특수형태근로종사자로서의 지위는 정신 건강 증상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오즈비 1.52, 95% 신뢰구간: 1.06-2.17). 층화분석에서 취약 그룹은 40대와 50대의 중년 (오즈비 1.68, 95% 신뢰구간: 1.10-2.54), 여성 (오즈비 1.85, 95% 신뢰구간: 1.20-2.84) 및 저소득층 (오즈비 3.18, 95% 신뢰구간: 1.77-5.73)에 속하는 근로자로 분석되었다.
결론
우리의 연구는 특수형태근로자로서 일하는 것이 그 자체로 불안감이나 우울감과 관련이 있다는 이전 연구 결과를 재확인하였다. 또한 중장년층, 여성, 저소득층에서 그 영향이 더 크다는 사실도 처음으로 밝혀냈다. 본 연구는 특수형태근로종사자의 정신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Association between precarious employment and the onset of depressive symptoms in men and women: a 13-year longitudinal analysis in Korea (2009–2022)
    Seong-Uk Baek, Jong-Uk Won, Yu-Min Lee, Jin-Ha Yoon
    Epidemiology and Psychiatric Sciences.2024;[Epub]     CrossRef
  • Temporary Employment Is Associated with Poor Dietary Quality in Middle-Aged Workers in Korea: A Nationwide Study Based on the Korean Healthy Eating Index, 2013–2021
    Seong-Uk Baek, Myeong-Hun Lim, Yu-Min Lee, Jong-Uk Won, Jin-Ha Yoon
    Nutrients.2024; 16(10): 1482.     CrossRef
  • Association of precarious employment with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female workers: Findings from a nationwide longitudinal study in Korea
    Seong-Uk Baek, Yu-Min Lee, Jin-Ha Yo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2024; 351: 931.     CrossRef
  • Characteristics and Socio-Demographic Distribution of Precarious Employment Among Korean Wage Workers: A Proposition of Multidimensional Approach Using a Summative Score
    Seong-Uk Baek, Min-Seok Kim, Myeong-Hun Lim, Taeyeon Kim, Jin-Ha Yoon, Jong-Uk Won
    Safety and Health at Work.2023; 14(4): 476.     CrossRef
  • 415 View
  • 0 Download
  • 4 Web of Science
  • 4 Crossref
Close layer
Analyzing decline in quality of life by examining employment status changes of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post medical care
Won-Tae Lee, Sung-Shil Lim, Min-Seok Kim, Seong-Uk Baek, Jin-Ha Yoon, Jong-Uk Won
Ann Occup Environ Med 2022;34:e17.   Published online July 18, 2022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2.34.e17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PubReaderePub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ecline in quality of life (QOL) by examining changes in the employment status of workers who had completed medical treatment after an industrial accident.

Methods

This study utilized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cohort (published in October 2020) containing a sample survey of 3,294 occupationally injured workers who completed medical care in 2017. We divided this population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changes in working status.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utilized for evaluating QOL decline by adjusting for the basic characteristics and working environment at the time of accident. Subgroup analysis evaluated whether QOL decline differed according to disability grade and industry group.

Results

The QOL decline in the “maintained employment,” “employed to unemployed,” “remained unemployed,” and “unemployed to employed” groups were 15.3%, 28.1%, 20.2%, and 11.9%, respectively. The “maintained employment” group provided a reference. As a result of adjusting for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working environment, the odds ratios (ORs) of QOL decline for the “employed to unemployed” group and the “remained unemployed” group were 2.13 (95% confidence interval [CI], 1.51–3.01) and 1.47 (95% CI, 1.13–1.90), respectively. The “unemployed to employed” group had a non-significant OR of 0.76 (95% CI, 0.54–1.07).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continuous unemployment or unstable employment negatively affected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QOL. Policy researchers and relevant ministries should further develop and improve “return to work” programs that could maintain decent employment avenues within the workers’ compensation system.

한국 산업재해 근로자의 요양 종료 후 고용상태의 변화와 삶의 질 저하와의 관계 분석
목적
산업재해 근로자의 요양 이후 직업 복귀와 삶의 질에 대한 사안은 이전부터 큰 사회적 관심사였다. 하지만 요양 종결 이후의 경제활동상태의 종적인 변화와 삶의 질과 연관시킨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는 산업재해 후 요양을 마친 근로자의 고용상태 변화를 조사하여 삶의 질(QOL) 저하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7년에 요양을 마친 3,294명의 산업재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산재보험패널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우리는 이 산재노동자 인구를 근로 상태의 변화에 따라 ”고용 상태 유지”, ”고용에서 미취업 상태”, ”미취업 상태 유지” 및 ”미취업에서 고용 상태”의 4개 그룹으로 나누었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모형은 기본 특성과 산업재해 당시의 작업환경을 보정하여 삶의 질 저하를 평가하는데 활용하였다. 하위집단 분석은 장애등급과 산업군에 따라 삶의 질 저하가 다른 지를 평가하였다.
결과
“고용 상태 유지”, ”고용에서 미취업 상태”, ”미취업 상태 유지” 및 ”미취업에서 고용 상태” 그룹의 삶의 질 감소 비율은 각각 15.3%, 28.1%, 20.2%, 그리고 11.9%이었다. 고용 상태를 유지한 그룹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사회경제적 상태와 근로환경을 보정한 결과 “고용에서 미취업 상태” 집단과 “미취업 상태 유지” 집단의 삶의 질 하락의 오즈비는 2.13 (95% 신뢰구간: 1.51–3.01)과 1.47로 분석되었다. (95% 신뢰구간: 1.13–1.90). "미취업에서 고용 상태" 그룹은 유의하지 않은 오즈비 0.76(95% 신뢰구간: 0.54–1.07)을 가졌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실업과 불안정한 고용이 산업재해 근로자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장해등급, 건설업종의 경우 위험성이 더 높다. 정책 연구자와 관련 부처는 산업재해 보상 시스템 내에서 적절한 고용 수단을 유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Work Performance Among Workers without Disabilities after Industrial Accidents: A Longitudinal Study
    Chong Min Hong
    The Open Public Health Journal.2024;[Epub]     CrossRef
  • Self-Esteem Trajectories After Occupational Injuries and Diseases and Their Relation to Changes in Subjective Health: Result From the Panel Study of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PSWCI)
    Seong-Uk Baek, Won-Tae Lee, Min-Seok Kim, Myeong-Hun Lim, Jin-Ha Yoon, Jong-Uk Won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2023;[Epub]     CrossRef
  • Macro Aspect of Quality of Life Can Be Affected by Occupational Accidents, a Macro Vision for Managers
    Farahnaz Khajehnasiri, Vida Zaroushani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and Epidemiology.2023; 12(3): 130.     CrossRef
  • Prevalence and Consequences of Verbal Aggression among Bank Workers: A Survey into an Italian Banking Institution
    Daniela Acquadro Maran, Antonella Varetto, Cristina Civilotti, Nicola Magnavita
    Administrative Sciences.2022; 12(3): 78.     CrossRef
  • 65 View
  • 0 Download
  • 1 Web of Science
  • 4 Crossref
Close layer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employment type and monthly income on depressive symptom: analysis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n Aging data
Myeong-Hun Lim, Jong-Uk Won, Won-Tae Lee, Min-Seok Kim, Seong-Uk Baek, Jin-Ha Yoon
Ann Occup Environ Med 2022;34:e24.   Published online September 13, 2022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2.34.e24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PubReaderePub
Background

In modern society, depression is serious issue that causes socioeconomic and family burden. To decrease the incidence of depression, risk factors should be identified and managed. Among many risk factors for depression, this study examined socioeconomic risk factors for depression.

Methods

We utilized first (2006), second (2008), and third (2010)-wave data from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Depressive symptom was measured with the 10-item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Short Form (CES-D-10) in the survey in 2008 and 2010. Three risk factors including job security, employment type and monthly income were measured in the survey in 2006. The association between risk factors and depressive symptom was analyzed by Cox proportional-hazard model.

Results

We analyzed data from 1,105 workers and hazard ratios (HRs) for 3 risk factors were significant entirely. In addition, regular worker with high income group is the most vulnerable group of poor job insecurity on depression among male workers (HR: 1.73; 95% confidence interval [CI]: 1.07–2.81). Finally, HRs for 7 groups who had at least 1 risk factor had higher HRs compared to groups who had no risk factors after stratifying 3 risk factors. In the analysis, significantly vulnerable groups were total 5 groups and the group who had highest HR was temporary/daily workers with poor job security (HR: 2.51; 95% CI: 1.36–4.64). The results concerning women, regardless of job type, were non-significant.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ed one or more risk factors among poor job security, low income, temporary/daily employment type increase hazard for depressive symptom in 2 or 4 years after the exposure. These results inform policy to screen for and protect against the risk of depression in vulnerable groups.

직업 안정성, 고용 형태, 월 소득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 고령화연구 패널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목적
우울증은 전세계적으로 사회경제적 부담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우울증의 위험요인으로는 유전적, 기질적, 환경적, 사회경제적 요인들이 알려져 있으나, 최근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로 인한 월 소득의 감소, 직업 불안정성을 포함한 사회경제적 요인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우울증을 스크리닝하기 위한 고위험군을 선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향적 코호트 내에서 직업 안정성, 고용 형태, 월 소득을 기준으로 8가지 그룹을 나누어 각 그룹의 우울 증상 발생 위험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전향적 코호트 연구인 제 1, 2, 3차 고령화연구패널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2, 3차 조사에서 적어도 한 번 이상 CES-D-10 점수가 4점 이상인 경우, 우울 증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였으며, 1차 조사에서 응답한 직업 안정성 여부, 고용 형태, 월 소득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Cox proportional-hazard regression model이 사용되었으며, 나이, 학력, 월 근무시간, 흡연 및 음주 과거력, 직무 스트레스가 보정 변수로 사용되었다.
결과
먼저, 남성 근로자에서 직업 불안정성, 임시직/일용직 근로자, 낮은 월 소득을 위험요인으로 갖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우울 증상의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두 번째로, 남성 근로자에서 월 소득, 고용 형태에 따라 4개의 그룹을 나누어 각 그룹에서 직업 불안정성의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월 소득이 높은 상용직 근로자 그룹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세 번째로, 직업 안정성, 월 소득, 고용 형태를 기준으로 8개의 그룹을 나누어 각각의 우울 증상의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남성과 여성 근로자에 대하여 각각 분석하였으며, 상용직, 높은 월 소득, 높은 직업 안정성을 가진 근로자를 기준 그룹으로 선정한 후, 위험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세 가지 위험 요소 중, 낮은 직업 안정성만을 위험 요소로 갖는 그룹 (HR [95% CI]: 1.66 [1.05-2.61]), 낮은 직업 안정성과 낮은 월 소득을 갖는 그룹 (HR [95% CI]: 1.76 [1.19-2.61]), 낮은 직업 안정성과 임시직/일용직 근로자를 갖는 그룹 (HR [95% CI]: 2.51 [1.36-4.64]), 낮은 월 소득과 임시직/일용직 근로자를 갖는 그룹(HR [95% CI]: 1.81 [1.02-3.22]) 세 가지 위험 요소를 모두 갖는 그룹 (HR [95% CI]: 2.27 [1.57-3.27])에서 우울 증상의 위험도 증가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세 가지 분석 모두에서 여성 근로자의 경우,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직업 불안정성, 임시직/일용직 고용 형태, 낮은 임금에 노출된 경우, 노출 후 2년과 4년 중 1회 이상 우울 증상 발생 위험도가 유의하게 증가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우울 증상에 대한 위험요인이 많은 근로자일수록 우울 증상에 대한 위험도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예외적으로, 임시직/일용직 근로자의 경우, 높은 월 소득의 근로자가 낮은 근로자보다 위험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월 소득과 고용 형태를 기준으로 그룹을 나누었을 때, 직업 안정성에 의한 위험도 증가가 가장 큰 그룹은 상용직 근로자 중 월 소득이 높은 경우였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1개 이상의 위험요인을 갖는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우울증에 대한 스크리닝 검사를 2년 간격으로 실시하는 것과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업 안정성에 대한 자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Citations

Citations to this article as recorded by  
  • Trajectories of job insecurity and the probability of poorer mental health among prime working-age Australian women and men
    Jennifer Ervin, Anthony D LaMontagne, Yamna Taouk, Tania King
    Social Science & Medicine.2024; 349: 116902.     CrossRef
  • Association between temporary employment and current smoking and change in smoking behaviors: A prospective cohort study from South Korea (2009–2018)
    Seong-Uk Baek, Min-Seok Kim, Myeong-Hun Lim, Taeyeon Kim, Jin-Ha Yoon, Yu-Min Lee, Jong-Uk Won
    Journal of Epidemiology.2024;[Epub]     CrossRef
  • Working hours and the onset of suicidal ideation and depressive symptoms: A 10-year nationwide longitudinal study in South Korea (2012–2022)
    Seong-Uk Baek, Min-Seok Kim, Myeong-Hun Lim, Taeyeon Kim, Jong-Uk Won, Jin-Ha Yoon
    Psychiatry Research.2023; 326: 115344.     CrossRef
  • 81 View
  • 1 Download
  • 4 Web of Science
  • 3 Crossref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