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Author index

Page Path
HOME > Browse articles > Author index
Search
Kyoung Yoon Ko 1 Article
Original Article
Development of standard job classification codes for building a job-exposure matrix for police officers
Sangjun Choi, Ju-Hyun Park, Inah Kim, Jungwon Jang, Jeehee Min, Sang Baek Koh, Seongwon Kim, Yeji Sung, Kyoung Yoon Ko, Su Min Oh, Un-Yeol Jeon
Ann Occup Environ Med 2025;37:e10.   Published online April 28, 2025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5.37.e10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Supplementary Material
Background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tandard job categories for constructing a job-exposure matrix (JEM) for police officers in South Korea and to evaluate their applicability.
Methods
We examined standard job codes related to police personnel management and compared them with job classifications from police publications. Using R Shiny, we developed a web-based search tool for standard codes. A pilot survey of 130 police officers assessed the codes' applicability and relevance to health-related hazardous factors.
Results
Eighty-seven standard functional codes used in the police personnel management system POOL were organized into minor categories as the basic units of standard jobs. These were grouped into 20 sub-major categories and further consolidated into 10 major categories to develop the standard job codes. The responses to the standard job codes in the pilot survey were 75% accurate compared with the final expert evaluation results and 99.2% accurate compared with the algorithm-based automatic alloc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job-hazardous factor network analysis revealed that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hazardous factor was emotional labor, followed by night shifts and electromagnetic waves. Emotional labor was identified as the top hazardous factor in six out of the nine standard job categories.
Conclusions
The standard job code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designed in connection with the personnel management system for police officers, making them well-suited for constructing a comprehensive JEM for the entire police force.
경찰관 직무-노출 매트릭스 구축을 위한 표준직무 코드 개발
목적
본 연구는 한국 경찰관에 대한 직무-노출 매트릭스(JEM) 구축을 위해 표준직무 코드를 개발하고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실시되었다.
방법
경찰관 인사관리 시스템을 검토하고, 경찰청 공식 발간물 및 조직도상의 직무관련 분류 체계를 검토하였다. R Shiny를 활용하여 웹 기반 표준코드 검색기를 개발하였고, 130명의 경찰관을 대상으로 시범 설문을 통해 경찰관들이 표준직무 코드를 잘 선택하는지 평가하였다. 또한 소속 부서 및 기능 등의 기술내용을 활용하여 표준직무 코드를 자동할당 하는 알고리즘을 만들어 자동할당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경찰관 인사관리 시스템에서 활용 가능한 직무 관련 정보를 검토한 결과 87개의 기능코드를 기반으로 20개의 중분류, 10개의 대분류 표준직무 코드를 개발하였고, 웹 기반 검색기 링크(https://kscf.shinyapps.io/pff_app/)를 통해 자세한 국문 코드명과 설명을 확인하고, 코드 검색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시범 설문 결과 응답자들의 표준직무 코드 선택 정확도는 75.4% 였고, 자동할당 결과의 정확도는 99.2%였다. 직무-유해요인 설문조사 결과 가장 많이 응답한 유해요인은 감정노동이었고, 다음으로 야간근무, 전자기파 순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한 표준직무 코드는 경찰관의 인사시스템과 연동되어 경찰관 전체에 대한 JEM 구축에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표준직무 코드를 적용한 경찰관 건강영향 관련 전수 설문조사를 통해 JEM 구축을 실시할 예정이다.
  • 531 View
  • 9 Download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