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OPEN ACCESS
SEARCH
Search

Author index

Page Path
HOME > Browse articles > Author index
Search
Hyo Won Chong 2 Articles
The relationship between shift work pattern 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 in female workers
Hun Jeong, Chang Ho Chae, Jun Ho Lee, Hyo Won Chong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14.   Published online June 22,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14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Shift work is known to cause changes in the circadian rhythm of the human body and adversely affect not only physical health but also mental health. Some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correlation between shift work and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a hormone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diurnal rhythm, but few studies have reported the different TSH levels according to the shift work typ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changes in TSH according to the shift work typ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318 female workers who had a medical checkup at a university hospital in Changwon from 2015 to 2019. Shift work types were classified as non-shift work, regular 2 shifts, and irregular three shifts, and a TSH ≥ 4.2 mIU/L was defined as abnormal. A general linear model (GLM) was used to compare the TSH levels and the risk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in each year, and a binary logist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GEE) to compare the risk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over the 5-year period.

Results

Of the 1,318 participants included in this study, 363, 711, and 244 were non-shift, two-shift, and irregular three-shift workers, respectively. In the GEE analysis, after adjusting for age, body mass index,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the odds ratios (ORs) were 1.81 (95% confidence interval [CI]: 1.15–2.86; p = 0.011) in 2 shifts and 2.02 (95% CI: 1.23–3.32; p = 0.006) in irregular three shifts, compared to non-shift.

Conclusions

Our results showed that shift work had a higher risk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than non-shift work a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isk of subclinical hypothyroidism according to the shift work typ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shift work type can be considered in future thyroid function tests and evaluations.

여성근로자에서 교대근무유형과 갑상선 자극 호르몬과의 연관성
목적
교대근무는 인체의 일중리듬에 변화를 일으키고 심혈관 질환, 소화기 질환 및 대사증후군과 같은 신체적 건강 뿐만 아니라 수면장애, 우울감 등을 포함한 정신건강에도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중리듬에 의해 변화하는 호르몬 중 하나인 갑상선 자극 호르몬(TSH)의 농도가 교대근무와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으나 교대근무 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교대근무의 유형에 따른 TSH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창원의 일개 대학병원의 건강진단을 받은 1,318명의 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교대근무유형은 비교대근무, 규칙적 2교대 및 불규칙 3교대로 분류하였으며 TSH ≥ 4.2mIU/L인 경우 이상이 있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연도별로 TSH의 농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반선형모델을 사용하였으며 5년간의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위험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일반화추정방정식을 사용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 1,318명 중 비교대근무자는 총 363명, 2교대 근무자는 총 711명, 불규칙 3교대 근무자는 총 244명이었다. 연령, 체질량지수(BMI), 흡연, 음주를 보정하고 일반화추정방정식을 사용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한 결과, 비교대근무자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OR은 2교대 근무자에서 1.81(95% CI 1.15-2.86, P=0.011), 불규칙 3교대 근무자에서 2.02(95% CI 1.23-3.32, P=0.006)로 나왔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교대근무가 비교대근무에 비해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위험도가 높았으며 교대근무의 유형에 따른 불현성 갑상선기능저하증의 위험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이전 연구들의 결과를 뒷받침할 뿐만 아니라 향후 갑상선 기능 검사 및 평가에 있어 교대근무의 유형이 고려대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169 View
  • 2 Download
Close layer
The relationship between skeletal muscle mass and the KOSHA cardiovascular risk in obese male workers
Hyo Won Chong, JunSeok Son, Changho Chae, Changho Jae
Ann Occup Environ Med 2023;35:e40.   Published online October 4, 2023
DOI: https://doi.org/10.35371/aoem.2023.35.e40
AbstractAbstract AbstractAbstract in Korean PDFPubReaderePub
Background

Effort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rdiovascular diseases (CVDs) in workers have been actively pursued. Obesity is one of the important risk factors related to CVDs. Obesity has various metabolic characteristics, and some individuals can be metabolically healthy. Body composition including skeletal muscle mass is known to have protective effect in obesity.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keletal muscle mass and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KOSHA) CVD risk among obese male manufacturing workers in Korea and to identify appropriate indicators of skeletal muscle mass for predicting risk of CVD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007 obese male workers at a manufacturing industry aged more than 19 years. Skeletal muscle mass, skeletal muscle index (SMI), skeletal muscle mass percent (SMM%) and skeletal muscle to body fat ratio (MFR) were used to evaluate body composition and these indicators were divided into quartiles. The odds ratios (OR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CIs) for the KOSHA CVD risk groups according to quartiles of skeletal muscle mass indicators were estimated using ord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OR for the KOSHA CVD risk groups in the highest quartile of SMI was 1.67 (95% CI: 1.42–1.92), while the ORs for the KOSHA CVD risk groups in the highest quartiles of SMM%, SMM/body mass index (BMI), and MFR were 0.47 (95% CI: 0.22–0.72), 0.51 (95% CI: 0.05–0.76), and 0.48 (95% CI: 0.23–0.74), respectively.

Conclusions

We found that high SMI increase the likelihood of high risk of CVDs, while high SMM%, SMM/BMI, and MFR lower the likelihood of high risk of CVDs. Accurate evaluation of skeletal muscle mass can help assess the cardiovascular risk in obese male workers.

비만 남성 근로자에서 골격근량과 KOSHA 심혈관질환 위험도와의 연관성
목적
근로자의 심혈관질환의 예방과 사후관리를 위한 노력이 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비만은 심혈관질환과 관련한 중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비만은 다양한 대사 특성을 나타내며 일부는 대사적으로 건강하다. 기전 중 하나로 골격근량을 포함한 체성분 구성의 대사적 보호 효과가 알려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제조업 비만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골격근량과 KOSHA 심혈관질환 위험도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고,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는 적절한 골격근량 지표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제조업에 근무하는 19세 이상의 비만 남성 근로자 2,00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체성분을 평가하기 위해 골격근량, skeletal muscle index (SMI), skeletal muscle mass percent (SMM%) 및 skeletal muscle to body fat ratio (MFR) 지표를 사용하였으며 4분위수로 나누었다.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골격근량 지표의 사분위수에 대한 KOSHA 심혈관질환 위험도의 교차비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결과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SMI 의 높은 사분위수에서 심혈관질환 위험군의 교차비는 1.67 (95% CI, 1.42-1.92) 으로 나타났다. SMM%, SMM/BMI 및 MFR 의 높은 사분위수에서 MHO 군의 심혈관질환 위험군의 교차비는 각각 0.47 (95% CI, 0.22-0.72), 0.51 (95% CI, 0.05-0.76), 및 0.48 (95% CI, 0.23-0.74) 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높은 SMI 에서 KOSHA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으며, 높은 SMM%, SMM/BMI 및 MFR 에서 KOSHA 심혈관질환 위험도가 높게 나타날 가능성이 낮았다. 정확한 골격근량의 평가는 비만 남성 근로자의 심혈관질환 위험도를 가늠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75 View
  • 0 Download
Close layer

Ann Occup Environ Med : Annal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Close layer
TOP